[한경에세이] 해골선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고싶은 것만 보고 사는 인생
가끔은 뒤집어볼 때 깨닫게 돼
이현종 HS애드 대표크리에이티브디렉터 jjongcd@hsad.co.kr
가끔은 뒤집어볼 때 깨닫게 돼
이현종 HS애드 대표크리에이티브디렉터 jjongcd@hsad.co.kr
D선배는 장난기가 많았다. 누가 보면 하얀 얼굴에 수줍은 미소만 흘리고 있어 오해하기 십상이었지만, 살금살금 짓궂은 짓은 도맡아 했다. 당시 비좁은 고등학교 방송반 스튜디오는 까까머리 머슴아들의 아지트였는데, D선배는 엔지니어였고 난 아나운서였다. 아나운서라고 해봤자 뭐 대단한 방송을 한 것은 아니고, 고작 점심시간에 음반을 틀어주며 디제이를 보는 게 전부였다.
고등학교 등교 첫날, 운동장 조회에 빠져도 된다는 이야기에 혹해 방송반에 지원을 하게 됐는데, 그것이 계기가 돼 신문방송학과에 가게 됐고 어떻게 보면 지금의 이 직업까지 이어지게 됐으니, 사람 일이란 참 모를 일이다.
3년을 방송실에서 보내면서 못된 짓도 많이 했는데, 방송반 지도 선생님인 J선생님은 그런 우리를 늘 못마땅하게 여겼던 것 같다. 하루는 D선배가 장난삼아 방송실 스튜디오 벽 한쪽에 ‘해’자를 반대편 쪽에 ‘골’자를 낙서해 놓았는데, 우리는 J선생님만 방송실에 뜨면 전전긍긍하면서도 웃음을 참느라 무진 애를 써야 했다. 왜냐하면 당시 J선생님의 별명이 해골이었기 때문이었다.
다행히도 선생님은 양쪽 면을 다 보는 일이 없었다. 물론 본인의 별명을 알고 있었으니, 들키면 혼찌검이 날 일이었다. 가끔 이 일을 회상하면 빙그레 웃음이 돌기도 하고, 사람들의 머리 구조가 참 재미있다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어떻게 그걸 못 발견하지? 알고 있는 사람 입장에선 당연히 답이 보이지만, 모르는 사람 입장에선 영원히 모르고 지나갈 수도 있다.
비유컨대, 어떤 사람은 ‘해’자만 발견하고 도대체 무엇일까 평생을 고민하기도 할 것이다. 그러다 언젠가는 저 ‘해’는 태양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외쳐대며 대단한 발견인양 기자회견을 자청할 수도 있을 것이고, 어떤 이는 저 ‘해’자의 필적을 파고들다 마침내 ‘해’자는 매직으로 쓰였다는 것을 알아냈다며 노벨상을 기대하기도 할 것이다. 또 어떤 이는 그것은 원래부터 있었던 것이었는데 뭐 그리들 난리인지 모르겠다며 요란 떠는 사람들을 무시할 것이다. 그리고 어떤 나라에선 ‘해’자가 모든 이들이 숭배해야 할 이치라고 혹세무민하는 동안, 이웃 나라에선 ‘골’자 외엔 쳐다봐서도 안 될 무가치한 것이라고 치부하며 다른 쪽으론 오줌도 못 누게 할 것이다.
사람들은 대체로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보려 하는 것 같다. 삐딱하게 보고, 뒤집어 보고, 거꾸로 보고, 안 보고 싶은 것도 보고, 그럴 때 깨닫는 것들이 있다.
이현종 < HS애드 대표크리에이티브디렉터 jjongcd@hsad.co.kr >
고등학교 등교 첫날, 운동장 조회에 빠져도 된다는 이야기에 혹해 방송반에 지원을 하게 됐는데, 그것이 계기가 돼 신문방송학과에 가게 됐고 어떻게 보면 지금의 이 직업까지 이어지게 됐으니, 사람 일이란 참 모를 일이다.
3년을 방송실에서 보내면서 못된 짓도 많이 했는데, 방송반 지도 선생님인 J선생님은 그런 우리를 늘 못마땅하게 여겼던 것 같다. 하루는 D선배가 장난삼아 방송실 스튜디오 벽 한쪽에 ‘해’자를 반대편 쪽에 ‘골’자를 낙서해 놓았는데, 우리는 J선생님만 방송실에 뜨면 전전긍긍하면서도 웃음을 참느라 무진 애를 써야 했다. 왜냐하면 당시 J선생님의 별명이 해골이었기 때문이었다.
다행히도 선생님은 양쪽 면을 다 보는 일이 없었다. 물론 본인의 별명을 알고 있었으니, 들키면 혼찌검이 날 일이었다. 가끔 이 일을 회상하면 빙그레 웃음이 돌기도 하고, 사람들의 머리 구조가 참 재미있다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어떻게 그걸 못 발견하지? 알고 있는 사람 입장에선 당연히 답이 보이지만, 모르는 사람 입장에선 영원히 모르고 지나갈 수도 있다.
비유컨대, 어떤 사람은 ‘해’자만 발견하고 도대체 무엇일까 평생을 고민하기도 할 것이다. 그러다 언젠가는 저 ‘해’는 태양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외쳐대며 대단한 발견인양 기자회견을 자청할 수도 있을 것이고, 어떤 이는 저 ‘해’자의 필적을 파고들다 마침내 ‘해’자는 매직으로 쓰였다는 것을 알아냈다며 노벨상을 기대하기도 할 것이다. 또 어떤 이는 그것은 원래부터 있었던 것이었는데 뭐 그리들 난리인지 모르겠다며 요란 떠는 사람들을 무시할 것이다. 그리고 어떤 나라에선 ‘해’자가 모든 이들이 숭배해야 할 이치라고 혹세무민하는 동안, 이웃 나라에선 ‘골’자 외엔 쳐다봐서도 안 될 무가치한 것이라고 치부하며 다른 쪽으론 오줌도 못 누게 할 것이다.
사람들은 대체로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보려 하는 것 같다. 삐딱하게 보고, 뒤집어 보고, 거꾸로 보고, 안 보고 싶은 것도 보고, 그럴 때 깨닫는 것들이 있다.
이현종 < HS애드 대표크리에이티브디렉터 jjongcd@hsad.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