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4월8일 오후 1시15분

[마켓인사이트] 코넥스, 7월 개설 전부터 '삐걱'
제3시장 코넥스(KONEX)의 개설을 앞두고 지정자문인으로 선정된 증권사들이 마땅한 ‘수익모델’을 찾지 못해 진땀을 빼고 있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코넥스 지정자문인으로 선정된 11개 증권사는 최근 코넥스시장 전담팀을 꾸리고 상장 후보업체를 물색하는 등 지정자문 업무를 준비 중이다. 하지만 대부분이 코넥스 시장에서 마땅한 수익 창출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시장 참가자들을 코넥스로 끌어들일 만한 유인이 충분하지 않다”며 “현행 제도상으로는 코넥스시장의 거래 활성화가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정자문사 “수익모델이 없다”

코넥스는 정부가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해 출범하는 제3시장이다. 기존 주식시장에서 상장업무만 도왔던 증권사들이 코넥스에선 지정자문 역할을 맡아 공시대리인·유동성공급자(LP)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하지만 코넥스 지정자문인으로 선정된 증권사 대부분이 마땅한 수익 창출 방안을 찾지 못한 상태다. 당분간은 인력과 비용을 최소화해 리스크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방침이다.

한 지정자문사 관계자는 “코넥스 지정자문인의 주 수익원은 자문료인데 이 금액은 투입비용을 감당하기에도 벅찰 만큼 적은 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정자문 증권사들은 코넥스 시장에서 돈을 벌기보다는 코넥스 상장기업이 2~3년 후 코스닥으로 진입할 때 상장주관사를 맡아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상장후보 찾는 데도 어려움

전문가들은 지정자문사들이 코넥스시장에 상장시킬 후보 업체를 발굴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는 코넥스 거래 활성화를 위해 지정자문사가 해당 기업의 ‘거래호가’를 제출하도록 의무를 부여했다.

IB업계 관계자는 “현행 제도상으로는 지정자문을 맡은 증권사가 지속적으로 매수호가를 올려야 한다”며 “기업의 주식이 고평가되면 부담 비용이 커진다”고 말했다. 그는 “거래 활성화를 위해선 실적이 좋은 비상장사를 코넥스로 올려야 하는 반면 이들의 밸류에이션(기업 가치)은 높게 평가할 수 없다는 딜레마가 있다”고 덧붙였다.

비상장업체는 코넥스시장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수준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할 경우 상장을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 양질의 비상장회사들이 떠난 자리에는 상대적으로 부실한 업체들이 남는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정부에 지정자문사 라이선스를 받기 위해 신청서를 제출할 당시만 해도 10여곳을 상장 후보업체로 올렸으나 최근 코넥스에 상장 가능한 기업을 추려낸 결과 1~2곳 정도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벤처캐피털 반응도 ‘싸늘’

주요 시장참여자로 꼽히는 벤처캐피털의 협력여부도 불투명하다. 대부분이 투자금 회수에만 초점을 맞춘다는 전략이기 때문이다. 앞서 지정자문 증권사들은 각각 10~30여곳의 벤처캐피털과 업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상장여부도 논란거리다. 벤처캐피털은 대부분 상환권과 전환권을 함께 보유한 우선주로 투자한다. 한 벤처캐피털 대표는 “현행 제도상으론 단기적 이해관계에 집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분을 처분하는 것에만 관심을 둔다”며 “RCPS의 경우 코넥스에서 상환권을 포기하면서까지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코넥스 지정자문사들이 수익성 및 리스크 등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을 안다”며 “업계의 의견을 반영해 시장 개설 후 거래가 부진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동혁/심은지 기자 otto8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