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김해·용인 경전철이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한 가장 큰 이유는 당초 승객 수요예측이 크게 빗나간 데서 비롯됐다. 용인시를 파산 위기에까지 몰리게 만든 용인 경전철의 당초 하루 예상 수요(이용자)는 14만4000여명이었다.

하지만 2011년 재추산한 결과 하루 이용자는 예상치의 20% 수준에 불과한 3만2000여명에 그쳤다. 만약 시와 민간사업자인 용인경전철(주)의 기존 협약대로 사업이 진행됐다면 용인시가 민간사업자에 30년간 손실보전해야 하는 금액은 최대 5조원에 달한다. 오는 4월 개통을 앞둔 용인선은 놀이공원인 에버랜드를 이용하는 승객들만 타는 ‘에버라인’으로 전락할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김해선과 의정부선도 수요예측이 크게 빗나갔다. 지난해 김해 경전철 이용 승객은 3만3595명으로, 예측치(18만7266명)의 17.9%에 그쳤다. 부산시와 김해시는 예상 탑승 수요의 74%에 못 미칠 경우 민간사업자인 부산김해경전철(주)에 손실을 보전해주는 최소운영수입보장제(MRG)를 맺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한 해 동안의 손실보전을 위해 부산시와 김해시가 지급해야 하는 손실 보전금은 총 567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7월 개통한 의정부 경전철 하루 이용객은 1만5000~1만6000명 수준으로, 예측치(7만9049명)의 18.9%에 불과하다. 의정부시는 MRG 협약에 따라 민간사업자인 의정부경전철(주)과 운영 후 10년간 예상 이용승객의 50~80% 내에 이용객이 머물 경우 재정보전을 해주기로 했다. 그러나 실제 이용이 18.9%에 그치면서 의정부경전철(주)은 보상조차 못 받고 있다. 손실이 커져가는 의정부경전철(주)이 파산하면 의정부시가 모든 부담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

문제는 경전철 승객이 앞으로도 늘어날 가능성이 없다는 것.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경전철 민자사업은 기종점 통행량(O/D) 등 국가교통자료(DB)가 구축되기 전에 수요예측이 진행됐다”며 “정확한 DB 없이 지자체가 직접 조사한 단순 지역 지표들을 종합하는 등 수요예측 모델 자체가 없어 크게 빗나갔다”고 지적했다.

사회경제지표 및 도시개발계획의 불확실성도 수요예측 실패의 또 다른 원인으로 지적된다. 예컨대 교통량을 측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인 인근 지역 인구 성장을 산정할 때 과거치에만 초점을 맞추면서 미래 예측에 실패한 것이다.

일각에선 수요예측이 의도적으로 부풀려졌다는 의혹도 제기한다. 수요가 많을수록 지자체나 민간사업자들이 사업을 추진하기 용이한 데다 금융회사에서 자금을 조달하기도 쉬워지기 때문이다.

의정부=강경민/김해=김태현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