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시안게임 주경기장, 관람석 절반이 가변형 좌석…비용 122억 줄여 '흑자경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천아시안게임 주경기장 공사현장 가보니
인천공항고속도로 북인천나들목에서 3㎞ 거리에 있는 인천시 서구 연희동 인천아시안게임 주경기장. 내년 9월 열리는 인천아시안게임을 앞두고 공사가 한창이다. 부지구입비를 포함해 총 사업비 4900억원을 투입하는 주경기장의 현 공정률은 46%다.
부지 63만1975㎡에 연면적 11만3620㎡로 지어지는 주경기장의 특징은 관람석을 가변형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대회 규모에 따라 관람석을 설치했다 뗐다 할 수 있도록 설계해 관람객이 적을 경우 불필요한 관람석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예산 낭비를 줄일 수 있다.
ADVERTISEMENT
지원본부는 아시안게임이 끝난 이후 가변 관람석을 각종 행사에 임대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지원본부 관계자는 “주경기장 설계시 최우선 목표는 예산 절감과 적자 운영 해소 방안”이라며 “가변 관람석을 이용하면 경기장 공사비 절감은 물론 아시안게임 이후에도 경기장의 유지·관리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주경기장은 대회 이후 대형마트, 영화관 등이 들어설 수 있도록 설계에 사후 활용 공간을 반영했다. 이미 주경기장 사후 활용을 위한 용역에 착수해 대회 이후 흑자 운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로 했다. 이 같은 사전 설계 적용으로 약 87억원의 공사비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는 게 지원본부 측 설명이다. 최근 조달 발주한 주경기장 콘크리트 블럭 분야에서도 약 9억원을 절감했다.
ADVERTISEMENT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