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건전성 강화를 강조하면서 지난해 한해동안 은행권이 정리한 부실채권이 25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가 안좋은 가운데서도 중소기업대출에 열을 올리면서 일부은행들은 올해 당국이 정한 부실채권 비율을 맞추는 데 어려움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이근형 기자입니다. 지난해 은행권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24조8천억원을 정리했습니다. 이에따라 부실채권 비율은 1.32%로 1년사이 0.04%포인트 낮아졌습니다. 은행들은 특히 금융감독원이 정한 부실채권비율 가이드라인인 1.3%를 맞추기 위해 4/4분기에만 부실채권 9조8천억원을 팔았습니다. 금융당국이 새정부 출범에 맞춰 하우스푸어나 가계부채대책을 시행할 수 있도록 자산건전화를 유도한 결과입니다. 올해 역시 중소기업 지원 열풍 속에 대규모 부실채권 정리가 예고됩니다. 자칫 중기대출 쏠림현상이 부실채권 급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다보니 부실채권 매각물량이 쏟아지면서 사겠다는 기관을 찾기도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인터뷰] 은행권 여신 관계자 “작년 4분기때 아시겠지만 은행권에서 NPL이 집중되어서 나오다 보니까 그런 어려움이 있긴 있었는데, 금년에도 작년만큼 물량이 많이 나온다고 보면 어려워질 수 있겠죠.” 특히 지난해 당국의 부실채권 목표치를 훨씬 웃돌았던 우리와 농협은행은 벌써부터 근심이 깊습니다. [인터뷰] 우리은행 관계자 “워크아웃 업체들이 많잖아요. 대기업들.. 그 대기업들을 지원을 안해줄 수가 없거든요. 회사 지원을 해주는 순간 대출도 전부 NPL로 잡혀요. 그러니까 이 숫자가 쉽게 내려가지는 않는거죠.” 금융감독원은 부실업종을 수시로 분석해 관련 채권은행을 집중 지도하고 상반기까지 경기상황을 지켜본 후 올해 부실채권 비율 목표치를 지난해보다 완화 할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 이근형기자 lgh04@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미인대회 우승자들도 구직때문에 `전전긍긍` ㆍ샤키라 아들 밀란, 얼굴 첫 공개…100만명이 `좋아요` ㆍ`우주에서 손씻는 법` 영상 눈길 ㆍ원빈 벽키스 동영상, 로맨틱한 눈빛에 보는 사람이 더 설레~ ㆍ이시영 이광수 급소가격, 체중 실은 공격에 “말로 하긴 좀… 고통”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근형기자 lgh04@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