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인선 차질땐 MB맨들과 국무회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월4일까지 선임 못하면 現 장관 근무 길어질수도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의 낙마로 박근혜 당선인이 대통령 취임(2월25일) 전까지 내각을 제대로 구성할 수 있을지가 불투명해졌다. 자칫하면 취임 후 한동안 이명박 정부의 총리나 장관을 데리고 국정을 꾸려가야 하는 ‘어색한 동거’ 상황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인사청문 기간이 최장 20일이므로 박 당선인이 취임 전까지 조각을 마치려면 늦어도 2월4일까지 새 총리와 장관 후보자 명단을 확정해 국회에 인사청문안을 제출해야 한다. 아직까지 새 총리와 장관 후보자를 지명할 수 있는 시간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결코 여유로운 상황은 아니다. 김 후보자의 낙마로 당장 총리 인선 작업이 원점으로 돌아간데다 이 과정에서 박 당선인의 ‘나홀로 인사’ 스타일이 약점으로 부각된 만큼 향후 인선 과정은 더욱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다.
특히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제2의 김용준’이 나온다면 초대 내각 구성은 결정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실제 5년 전 이명박 정부도 초대 총리 지명자인 한승수 전 총리의 국회 임명 동의가 늦어지고 일부 장관 후보자가 낙마하면서 첫 국무회의에 노무현 정부의 장관 일부를 대참시켜야 했다. 이명박 정부가 임명한 국무위원들로만 진행된 첫 회의는 정부 출범 후 23일 만인 3월18일에야 이뤄졌다.
정부조직개편안의 국회 처리 여부도 만만치 않은 변수다. ‘공룡부처’ 논란을 빚고 있는 미래창조과학부나 통상교섭본부의 산업통상자원부 이관 등 조직개편의 핵심 내용이 바뀌면 박근혜 정부의 색깔 자체가 희석될 수도 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인사청문 기간이 최장 20일이므로 박 당선인이 취임 전까지 조각을 마치려면 늦어도 2월4일까지 새 총리와 장관 후보자 명단을 확정해 국회에 인사청문안을 제출해야 한다. 아직까지 새 총리와 장관 후보자를 지명할 수 있는 시간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결코 여유로운 상황은 아니다. 김 후보자의 낙마로 당장 총리 인선 작업이 원점으로 돌아간데다 이 과정에서 박 당선인의 ‘나홀로 인사’ 스타일이 약점으로 부각된 만큼 향후 인선 과정은 더욱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다.
ADVERTISEMENT
정부조직개편안의 국회 처리 여부도 만만치 않은 변수다. ‘공룡부처’ 논란을 빚고 있는 미래창조과학부나 통상교섭본부의 산업통상자원부 이관 등 조직개편의 핵심 내용이 바뀌면 박근혜 정부의 색깔 자체가 희석될 수도 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