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당선인이 줄기차게 ‘민생(民生)’을 강조한 것도 이번 대선의 승리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 글로벌 경제위기와 극심한 양극화로 시달리는 국민의 표심을 파고든 게 통했다는 평가다. 경쟁 상대를 이념 싸움만 몰두하는 세력으로 규정, 차별화하는 데 성공했다. 향후 정부 이름도 ‘민생정부’를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박 당선인은 20일 첫 기자회견에서도 민생을 강조하는 걸 빼놓지 않았다. 박 당선인은 그 일환으로 제2의 ‘잘살아보세’ 신화 구현을 들고 나왔다. 그는 “1960년대 초 1인당 국민소득이 100달러에도 미치지 못한 나라에서, 2012년 지금은 그 200배가 넘는 2만달러의 시대를 살고 있다”고 언급한 건 과거 경제 개발 시대의 믿음을 빌려 새로운 패러다임의 경제 성장 정책을 만들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박 당선인의 경제 브레인인 강석훈 의원은 “단순히 예전처럼 가난에서 벗어나자는 의미가 아니라 침체에 빠진 경제를 살려 중산층 70%를 복원하고 공정한 시장경제를 만들자는 뜻”이라며 “과거 개발시대의 성장 지상주의에서 탈피해 공정경쟁, 성장, 복지 등을 함께 추구하는 패러다임”이라고 설명했다.

박 당선인은 “국민 모두가 먹고사는 것을 걱정하지 않고, 청년들이 즐겁게 출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추운 겨울에 따뜻하고 편안한 잠자리에 드실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당선인은 그러면서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국민대통합이고, 경제민주화이고, 국민행복”이라고 강조했다.

박 당선인의 경제 공약을 총괄한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도 이날 CBS라디오에 출연, 국민통합 대책을 묻는 질문에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면 상당 부분 자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민생에 방점을 뒀다.

그는 민생 챙기기의 일환으로 시작된 경제민주화 추진에 대해선 “박 당선인이 후보 시절부터 국민과 철저하게 약속했기 때문에 이젠 도외시할 수 없는 상황이며 확실하게 끌고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상생과 공생의 원칙은 경제 부문뿐 아니라 정치와 사회 부문에도 적용한다는 게 박 당선인의 생각이다.

박 당선인은 “우리 국민은 예로부터 두레와 같은 상부상조의 미덕을 가졌다”며 “이제 상생과 공생의 정신이 정치, 경제, 사회 곳곳에 스며들도록 제가 앞장서겠다. 그것이 현재 우리가 직면한 어려움을 이겨내고 새로운 미래의 문을 여는 열쇠”라고 강조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