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갤럭시S3에 갤럭시노트2의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는 ‘갤럭시S3 프리미엄 스위트 업그레이드’를 실시한다. 크기 조절이 가능한 두 개의 화면으로 분리해 동영상 인터넷 메시지 등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멀티 윈도’와 360도 파노라마 촬영 모드 등이 추가됐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25일 고개를 숙였다. SK텔레콤은 해킹 공격으로 가입자 유심(UISM) 정보가 유출되면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권고한 데 이어 유심 무료 교체도 지원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현행법령상 해킹 사실을 인지한 시점으로부터 '24시간 이내 신고'를 해야 했지만 이를 지키지 못했단 점도 인정했다.해킹 공격을 당한 SK텔레콤은 피해자이기도 하지만 처벌을 감수해야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사전 점검을 통해 취약점을 발견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면 기업도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이다. 개인정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적·관리적 조치를 취하지 않아 이용자 정보가 유출됐을 경우 정보통신망법 위반에 해당돼 처벌받는 것이다. 사전 조치 미흡으로 정보 유출 땐 책임자 '처벌' 대표적 사례가 여기어때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여기어때는 2017년 3월 자사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숙박예약을 한 예약자 91만708명의 예약자명, 휴대폰 번호, 숙박일수, 숙박업소명, 객실명, 결제방법, 결제금액, 입·퇴실시간 등이 담긴 개인정보 323만9229건을 해킹 당했다. 이틀 뒤 회원 7만8710명의 이름, 회원번호, 이메일, 가입일시 등이 포함된 개인정보가 추가로 유출됐다. 수사기관은 당시 여기어때 개인정보보호·보안 분야 총괄 책임을 맡았던 장영철 당시 부사장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 장 전 부대표는 1·2심에서 모두 벌금 2000만원을 선고받았다. 법원은 장 전 부사장이 사전 조치를 취하지 않아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했다. 1심은 "장 전 부사장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으로부터 취약점 점검을 받아 SQL 인젝션
SK텔레콤이 2300만 명에 달하는 모든 고객의 유심(USIM)을 무상 교체해주기로 했다. 외부 해킹으로 유심의 일부 정보가 유출된 사고가 발생한 지 1주일 만인 25일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서울 을지로 T타워에서 “SK텔레콤을 믿고 이용해준 고객 여러분과 사회에 큰 불편과 심려를 끼쳐 드린 점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했다.SK텔레콤은 지난 18일 오후 11시께 악성 코드로 인한 해킹 사실을 확인했다. 가입자의 유심을 식별하는 고유식별번호와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키값 등이 유출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같은 정보를 활용하면 유심을 복제해 가입자 몰래 ‘대포폰’ 등을 개설할 수 있다. SK텔레콤이 보안사고를 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날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SK텔레콤의 사운이 걸렸다”고 말했다.SKT "유심카드 교체로 피해 원천 차단"해킹 1주일 만에 대국민 사과SK텔레콤이 전 고객 유심(USIM) 무상 교체라는 파격적인 조치를 들고나왔다. 단 한 건의 ‘대포폰’ 사례도 나오지 않게 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개당 7700원인 유심을 약 2310만 명의 가입자에게 모두 교체해줄 경우 SK텔레콤의 재무적 부담은 1700억원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다음주부터 유심 무상 교체SK텔레콤은 28일 오전 10시부터 자사 모든 이용자를 대상으로 유심(e심 포함) 교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5일 발표했다. 전국 T월드 대리점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무료로 바꿀 수 있다. 유심 탈부착이 불가능한 일부 스마트 워치와 키즈폰 등은 교체 대상에서 제외된다. 사람이 몰려 당일 교체가 어려우면 예약 신청도 가능하다.해킹 사실이 알려진 지난 19일 이후 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다음달부터 전국 29개 대학의 이공계 대학원생 약 5만 명을 대상으로 매월 80만~110만 원 수준의 연구생활장려금을 지원한다. 정부는 이공계 대학원생의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과기정통부는 25일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사업’ 참여 대학 29곳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안정적인 연구 기반을 제공하기 위한 재정지원 프로그램으로 석사과정은 월 80만 원, 박사과정은 월 110만 원 이상의 최저지급액을 보장받는다.선정된 대학은 서울대, 부산대, 가천대 등 수도권 16개, 비수도권 13개교로 지역별로 고르게 분포됐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월부터 한 달간 공모를 진행했으며 신청한 대학의 사업 운영 역량을 평가한 뒤 전 대학을 참여 대상으로 확정했다.이번 지원은 이공계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형 스타이펜드(Stipend)’ 제도가 도입된 후 처음 이뤄졌다. 한국형 스타이펜드란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지급되는 학생지원금을 통합해 체계적으로 관리해 학생연구자의 경제적 안전망을 확충하고 전반적인 처우 수준을 개선하는 연구개발(R&D) 지원제도다.해외에선 유사한 형태의 제도가 이미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미국에서 시행하는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 대학원생에게 제공되는 장학금 제도나 연구조교·교육조교 제도를 통해 학비를 면제받고 생활비를 지원받는 어시스턴트십 제도가 대표적이다.특히 이번 사업에는 단순한 재정 지원을 넘어 지원 체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개선하는 내용도 담겼다. 기존에는 연구책임자가 학생지원 전반을 전담했지만 이제는 정부와 대학이 그 부담을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