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계기로 차기 정부의 남북 관계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와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모두 북한의 무력 도발에는 강력히 대응한다는 공통된 입장을 갖고 있다. 다만 장기적인 대북 정책에서는 접근 방식과 시각에서 여전히 차이가 있다.

박 후보는 무엇보다 북한의 핵개발과 미사일 발사 등 군사적 위협에 대해 국제사회와 연대해 강력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때문에 북한의 비핵화 등을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달고 있다. 지난 4일 대선 후보 TV토론회에서도 ‘신뢰 회복’와 ‘비핵화 진전’을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대북정책이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고 유화 또는 원칙만 강조하는 대북정책도 실질적 변화와 평화를 가져오지 못했기 때문에 안보를 바탕으로 신뢰를 정상화해야 한다”며 “신뢰가 쌓이고 북한의 비핵이 진전되면 국제사회까지 참여하는 대규모 경제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대북 공약으로 한·미 동맹을 포함한 방위 역량을 증강하고 외교안보 정책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타워인 ‘국가안보실’ 신설을 약속했다. 또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해 남북관계를 정상화하겠다”며 남북대표부 역할을 하는 ‘남북교류협력사무소’를 서울과 평양에 설치하겠다고 했다.

문 후보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는 입장에선 박 후보와 맥락을 같이한다. 다만 안보를 토대로 북한의 무력 도발 가능성에 단호히 대처하되 좀 더 나아가 남북 간 화해·협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시대를 연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햇볕정책’을 근간으로 하되 북한을 돕는 차원을 넘어 남북 간 경제협력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겠다는 얘기다.

문 후보 역시 지난 TV토론회에서 “현 정부는 북한이 핵을 먼저 폐기해야만 남북대화를 한다고 하니 북핵문제도 해결되지 않고 남북관계도 파탄났다”며 ‘북핵 포기와 남북관계의 선순환’을 강조했다. 이어 “내년 여름까지 한·미, 한·중 정상회담을 개최해 한반도 평화구상 초안을 조율한 뒤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과 협의하겠다”는 로드맵을 내놓았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