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후보측이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측의 보이콧으로 교착 상태에 빠진 단일화 룰 협상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해법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어떻게든 협상 테이블을 재가동시키는 게 급선무이지만, 현재로선 안 후보측을 달래기 위한 뾰족한 묘안이 없어 속을 태우고 있다.

문 후보 선대위 핵심 관계자들은 전날 심야 회의를 긴급히 소집한데 이어 15일 오전에도 대책회의를 갖는 등 분주하게 움직였다.

대책회의에서는 김부겸 공동선대위원장이 이번 사태에 대해 공식적으로 유감을 표명하는 방안도 검토됐다.

선대위 인사들은 안 후보측 인사들에 대한 접촉도 다각도로 시도하고 있다.

이틀째 부산을 방문 중인 문 후보도 전날밤 안 후보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유감의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후보는 서울에 있는 캠프 인사들로부터 시시각각 보고를 받으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안 후보측이 `책임있는 조치'를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문 후보측은 후속 조치에 대한 수위를 놓고도 고민하고 있다.

안 후보측이 문제삼은 대목 가운데 협상실무팀 인신공격 부분에 대해선 당사자인 백원우 전 의원의 선대위직 사퇴로 이미 조치를 취했지만, 민주당발(發) `안철수 양보론'과 조직적 세몰이 논란에 대해선 실체가 없다는 입장이다.

안 후보측이 `안철수 양보론' 발언의 당사자로 지목한 본부장급 인사가 강력 부인하고 있는데다 조직적 세몰이 부분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자체확인됐다는 것이다.

선대위 주변에선 사태 장기화를 막기 위해 문 후보가 안 후보와의 만남 추진 등을 통해 직접 사태 수습에 나서야 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속전속결식 협상을 통해 `경선'을 관철시키려던 문 후보측으로선 협상 지연으로 애를 태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간이 늦어질 수록 경선은 물건너갈 공산이 커지기 때문이다.

캠프 일각에서 안 후보측이 경선 실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지연 작전'에 나선 게 아니냐는 의구심 어린 시선이 고개를 드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안 후보측이 이번 사태를 고리로 문 후보측과 민주당을 `구(舊)정치세력'이라는 프레임에 가두려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선대위 주변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 경우 문 후보의 최근 지지율 상승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게 고민지점이다.

선대위 인사는 "감정싸움 양상이 지속되면 `아름다운 단일화'는 힘들어지고 상처가 불가피하다"며 협상 재개를 거듭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