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형씨 적극적 진술…필요한 부분 죄다 추궁"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부지 의혹 사건 특검팀(이광범 특별검사)은 25일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34)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부지매입 경위 등을 밤늦게까지 강도높게 조사했다.

시형씨는 이날 밤 11시 현재 배임과 부동산실명제법 위반 혐의 등에 대해 약 13시간째 조사를 받고 있다.

시형씨는 이날 자정 무렵 조사를 마치고 귀가할 것으로 보인다.

현직 대통령 자녀의 특검 소환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형씨는 앞서 검찰 수사에서는 피고발인 신분으로 서면조사만 받고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됐다.

시형씨는 이날 오전 10시10분 서울 서초동 법원청사 인근 특검 사무실에 출석해 5층 영상조사실로 직행했다.

시형씨는 미리 준비해온 소명 자료를 제출하고 자신의 주장을 비교적 분명한 어조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창훈 특검보는 조사 진행상황에 대해 "전반적인 부분을 다 확인하고 있다.

시형씨는 변호인의 참여 하에 적극적으로 진술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날 시형씨에게 청와대 경호처와 내곡동 3필지를 공동 매수하면서 땅값 일부를 대통령실에 부담하게 해 국가에 손해를 끼쳤는지, 매입 과정에서 부동산실명법을 어겼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특히 특검팀은 시형씨가 내곡동 부지를 매입하는 과정에서 경호처와 공동으로 사들인 사저 터의 지분율을 정한 기준과 매입자금 분담 비율이 결정된 과정을 자세히 캐물었다.

또 시형씨가 내곡동 부지를 실제로 소유할 의사가 있었는지, 매매자금의 조달 경위와 출처 등에 대해서도 답변을 요구했다.

시형씨는 특검팀의 이 같은 추궁에 대해 기존 혐의를 대체로 부인하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부지 매입에 대해서는 1년 정도 기한이지만 자신이 직접 소유할 의사로 매매대금을 마련해 내곡동 부지를 매수했고 명의신탁을 받은 건 아니라는 취지로 부동산실명법 위반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사저 부지 매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 대통령 부부와 청와대 경호처 관계자들의 역할을 광범위하게 조사했다.

이와 관련, 특검팀은 "명의를 수탁받은 것은 수사 대상이 된다"고 원칙론을 밝히면서도 이 대통령 부부에 대한 조사 가능성에는 즉답을 피했다.

특검팀은 "현재로서는 전반적인 사실관계를 조사 중인 상태"라며 "(이 대통령 조사 부분은) 지금 답할 부분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특검팀은 "어쨌든 필요한 부분은 조사할 것이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관계자들을 조사할 것"이라며 `성역 없는 수사'를 진행할 것임을 거듭 강조했다.

향후 수사에 대해서는 "이씨형씨를 조사하고 나면 검토를 해서 어디까지, 어느 부분까지 조사할지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형씨는 앞서 검찰에 제출한 서면답변에서 이 대통령에게서 들은 내용에 따라 모친 김윤옥 여사의 서울 논현동 땅을 담보로 농협 청와대 지점에서 6억원을 대출받고, 큰아버지인 이상은(79) 다스 회장에게서 현금 6억원을 빌려 부지 매입 비용을 마련했다고 진술했다.

또 사저 터를 편의상 먼저 자신의 명의로 취득했다가 사저 건립 무렵 이 대통령이 재매입하는 것이 좋겠다는 이 대통령의 말을 듣고 관련 업무를 청와대 총무기획관실 김세욱(58) 행정관에게 부탁해 진행했다고 답변했다.

시형씨는 돈을 마련해 매도인인 유모(57)씨에게 송금했을 뿐 자신은 부지 계약에 관여한 사실이 없고 경호처와 지분을 나눈 기준도 전혀 아는 바가 없다고 주장했다.

시형씨와 경호처는 내곡동 20-17번지 등 9필지를 사저와 경호시설 건립 부지로 총 54억원에 사들였다.

시형씨가 11억8천만원을, 경호처가 42억2천만원을 부담했으며, 시형씨는 6억~8억원의 이익을 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특검팀은 전날 오후 귀국한 이상은 다스 회장에 대해서는 "아직 소환 일정이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 회장의 부인 박모씨가 현금 6억원을 전달하는 과정에 관여한 정황이 포착돼 박씨에게도 출석을 요구했다.

미국에 체류 중인 내곡동 부지 매도인 유모(57)씨에 대해서는 "아직 연락이 안 된다.

다각도로 접촉을 시도 중"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26일 청와대 경호처가 내곡동 사저 부지의 감정평가를 의뢰한 감정평가업체 소속 감정평가사 1명과 경호처 직원 2~3명을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임주영 김승욱 김동호 기자 zoo@yna.co.krkind3@yna.co.krd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