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교육 확충으로 저출산 문제, 사회불평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5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12'에서 발표자와 토론자들이 한 목소리로 유아교육 확충을 강조했다.

먼저 발표에 나선 스티븐 바넷 럿거스대 유아교육연구소 소장은 자신을 경제학자로 소개했다. 스티븐 교수는 경제학자로서 '유아 교육이 왜 필요하며, 왜 정부가 유아교육에 투자해야 하는지'를 설명했다.

그는 "정부가 유아 교육에 조기 투자할 때 사회적으로 거둬들이는 효과가 크다" 며 "양질의 조기교 육만 제대로 제공한다면 부유층과 빈곤층 자녀들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원영 중앙대 유아교육과 명예교수도 조기 교육에 투자를 해서 양질의 교육을 보장하면 우리 사회의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무대에 오른 엘리자벳 달레 노르웨이 교육부 차관은 노르웨이의 사례를 들어 유아 교육 확충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노르웨이도 출산율이 떨어지기 시작한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교육부에서 '유아교육' 업무를 관장했다" 며 "0~6세 교육에 집중적으로 재정을 투입해 결실을 맺고 있다"고 말했다.

노르웨이는 2000년대 초반 출산율이 1.65였다. 2006년에 0~6세에게 제공하는 교육제도를 양질로 전환하면서 출산율이 1.98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신은수 덕성여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노르웨이, 스웨덴도 유아 교육에 정부의 재정을 투입해 출산율이 상승하는 효과를 봤다"며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신 교수는 "우리 사회의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아 교육을 보편적 복지 차원에서 확충하고 교사들의 역량을 중등교사 수준으로 신장시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아교육 확충으로 양육에 대한 부담이 줄면 이는 자연스레 저출산 문제 해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

박은혜 이화여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보편복지냐 선별복지냐를 얘기하지만 우리사회는 초등교육부터는 보편복지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유아 교육에 대해선 선별 교육을 얘기한다"고 지적했다.

'유아교육'은 복지문제로 대두되며 올해 '글로벌 인재포럼 2012'에 처음으로 포함된 주제이기도 하다.

'미래인재 양성의 출발, 유아교육 확충'을 주제로 이른 아침시간부터 시작된 강연임에도 불구하고 이날 행사장은 빈 자리 없이 200여명의 청중으로 꽉 들어차 '유아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차세대 영재기업인 1기 자격으로 행사장을 찾은 곽재헌 군은 "노르웨이의 선진교육 방식에 대해 들을 수 있어 좋았다" 며 "연사들에게 드릴 질문이 많았는데 시간 제약으로 할 수 없어 아쉬웠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정혁현 기자 chh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