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의 ‘LTE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개인 개발자 또는 중소기업이 이용한 건수는 총 2000여 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TE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가 지난해 8월 문을 연 이래로 하루 평균 6, 7건 사용된 셈.

LG유플러스는 8일 이같이 밝히고 ‘LTE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가 중소기업과 상생경영을 위한 가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LTE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는 4G LTE 디바이스와 어플리케이션(앱) 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특히 가장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은 M2M(사물지능통신) 분야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기기간의 통신을 매개로 하는 M2M은 향후 잠재 수요가 큰 분야다. 현재 이 센터에서 M2M 분야와 관련한 LTE 디바이스 또는 앱은 20여 건이 개발됐거나 개발 중에 있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사업이 '스마트 크린 서비스' 역시 이 센터를 통해 개발했다. LG유플러스는 중소 협력회사들과 함께 무선인식(RFID) 기반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사업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10개 지차체에 공급했다.

최차봉 LG유플러스 디바이스개발담당 상무는 “중소기업과의 공동 개발, 이종업계와의 제휴, 해외사업자 연계, 사업제안 사이트 운영 등 LTE 기반의 신규 사업기회를 적극 발굴해 ‘IT 생태계의 상생협력 창구’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이지현 기자 edith@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