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해외성장 기대…비중확대"-교보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보증권은 5일 자동차주(株)에 대해 "글로벌 시장점유율 유지와 판매 증가가 가능할 것이고 원·달러 환율 수준도 우호적이라서 긍정적"이라며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제시했다.
이 증권사 송상훈 센터장은 "지난 9월 국내 자동차 업체들의 글로벌 판매는 전년 대비 0.1%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면서 "이는 전월 공급부족 해소와 해외 공장들의 판매 호조 지속에도 불구하고 내수 수요 부진, 기아차 부분 파업, 생산능력 문제 등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송 센터장은 그러나 "국내 자동차 업체들이 강점을 지닌 차급(중소형 및 CUV)의 여전한 수요 강세, 중국 등 일부 해외공장들이 신규 가동, 신차 효과(K3, 산타페DM, 랑동) 등을 고려할 때 해외부문을 중심으로 국내 자동차 업체들의 글로벌 판매 증가는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따라서 자동차 업종에 대한 투자의견도 비중확대. 그는 "글로벌 경기침체 및 업계 내 경쟁심화 등 불안요인에도 경기 방어적인 제품과 고른 지역 판매 포트폴리오를 통해 글로벌 점유율 유지 및 판매 증가세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원가 개선 및 브랜드가치 제고에 따른 판가 상승을 통한 질적 성장이 기대되며 아직까지 우호적인 원·달러 환율 수준과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매력 등을 고려할 때 자동차 업종 주가는 상승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송 센터장은 판단했다.
업종 내 최선호주로는 현대차가 꼽혔다. 그는 "북경3공장 및 브라질공장 신규 가동에 따라 생산능력이 확대되고, 높은 가동률과 초과수요로 판매가격 상승 여력이 커 향후 이익 신뢰도가 높다"며 "더욱이 하반기 신차효과(산타페DM, 랑둥(朗動))도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현재 올해 기준 현대차의 주가수익비율(PER)도 6.5배(우선주 포함)에 불과해 주가의 하방 경직성도 크다는 것이 송 센터장의 설명이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
이 증권사 송상훈 센터장은 "지난 9월 국내 자동차 업체들의 글로벌 판매는 전년 대비 0.1%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면서 "이는 전월 공급부족 해소와 해외 공장들의 판매 호조 지속에도 불구하고 내수 수요 부진, 기아차 부분 파업, 생산능력 문제 등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따라서 자동차 업종에 대한 투자의견도 비중확대. 그는 "글로벌 경기침체 및 업계 내 경쟁심화 등 불안요인에도 경기 방어적인 제품과 고른 지역 판매 포트폴리오를 통해 글로벌 점유율 유지 및 판매 증가세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원가 개선 및 브랜드가치 제고에 따른 판가 상승을 통한 질적 성장이 기대되며 아직까지 우호적인 원·달러 환율 수준과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매력 등을 고려할 때 자동차 업종 주가는 상승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송 센터장은 판단했다.
ADVERTISEMENT
현재 올해 기준 현대차의 주가수익비율(PER)도 6.5배(우선주 포함)에 불과해 주가의 하방 경직성도 크다는 것이 송 센터장의 설명이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