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컨퍼런스 2012] "세종시를 균형발전 新중심축으로"…충청권 지자체 힘 모은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2 수도권'건설 협력
세종·대덕·오송·오창 등 네트워크형 광역개발 추진…"稅감면 등 정부 지원 필요"
'충청권 경제포럼' 활성화로 상생·공동발전 방안 모색
세종·대덕·오송·오창 등 네트워크형 광역개발 추진…"稅감면 등 정부 지원 필요"
'충청권 경제포럼' 활성화로 상생·공동발전 방안 모색
“충청권에 산업과 행정 중심의 ‘제2 수도권’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첫 단추인 세종시의 자족도시화가 중요하다. 중앙행정기관의 차질 없는 이전과 정부의 각종 세제·재정 지원을 끌어내기 위해 인근 지역 자치단체들이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염홍철 대전시장)
“세종시와 대덕·오송·오창 등지의 연구·개발(R&D) 인프라를 결합하기 위해 관련 지자체들이 공동 이익을 위해 광역네트워크를 형성하자.”(안희정 충남지사)
5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종컨퍼런스 2012’에서는 충청권 최대의 화두인 ‘중부권 신수도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과 대안이 모색됐다.
기조연설에 나선 김안제 초대 신행정수도 건설추진위원장(서울대 명예교수)은 “세종시 건설에 따라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지만 ‘국가정책을 구현하는 거점’이란 측면에서 국가 차원의 지도와 지원이 전폭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철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세종시 출범과 국가발전방안’ 세션에서는 국토 균형 발전의 새장을 열게 될 ‘중부 신수도권 구상’이 집중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충청권을 수도권에 대응하는 국가 균형 발전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데 공감을 나타냈다. 또 충청권이 지난 7월 세종시 출범을 계기로 오창과학산업단지, 오송 바이오산업단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사업 등으로 인해 국토에서 가장 역동적인 변화가 펼쳐지고 있는 지역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 같은 성장 잠재력을 한데 끌어모으기 위한 방안으로는 ‘네트워크형 거대도시권 형성’이 제기됐다. 박양호 국토연구원장 등 주제발표자들은 “2030년 세종시를 중심으로 대전, 청주·청원 등 30분거리 공간에 400만~500만 인구 규모의 거대 도시권이 형성된다”며 “권역 내 거점도시별 산업과 기능 교통인프라 등을 광역도시권에서 통합 운영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행사에 참석한 광역자치단체장들은 “이번 컨퍼런스가 충청권 제2 수도 구상이란 새로운 길을 제시한 뜻깊은 행사였다”며 “향후 충청권 발전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각 거점도시들이 가진 강점과 특성을 통합 운영한다면 이곳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초거대도시)로 부상하게 될 것”이라며 “충청권 지자체들이 손을 잡고 광역 개발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세종시 출범을 계기로 대전 충·남북 3개 시도는 지난해 말부터 충청권 경제포럼을 출범시켜 지역 현안에 대한 상생협력과 공동발전 방안을 모색해오고 있다”며 “이를 통해 최근에는 국회 분원 세종시 설치, 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정부지원 강화, 청주공항 인프라 지원 등을 대선 공약화하기로 합의했다”고 소개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우선 시급한 것이 남북축에 비해 연계가 부족한 동서축 각종 교통인프라 확충”이라며 “세종시 연결도로, KTX 오송역 및 청주국제공항 접근성 개선, 청주국제공항의 세종시·충청권 허브관문 육성 등에 힘을 모으자”고 강조했다. 유한식 세종시장은 “세종시와 인접 도시들 간 접근성 강화를 위해 도시 간 철도 건설, 기존 도로 확장·증설 및 순환도로 신설 등의 교통망 구축이 절실하다”며 “세종시가 중부권 핵심도시로 발전하기 위해 주변 도시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경·대전일보 공동 주최 ◆특별취재팀= 김태철 차장·최성국 차장·임호범 기자·강경민 기자
“세종시와 대덕·오송·오창 등지의 연구·개발(R&D) 인프라를 결합하기 위해 관련 지자체들이 공동 이익을 위해 광역네트워크를 형성하자.”(안희정 충남지사)
5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종컨퍼런스 2012’에서는 충청권 최대의 화두인 ‘중부권 신수도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과 대안이 모색됐다.
기조연설에 나선 김안제 초대 신행정수도 건설추진위원장(서울대 명예교수)은 “세종시 건설에 따라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지만 ‘국가정책을 구현하는 거점’이란 측면에서 국가 차원의 지도와 지원이 전폭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철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세종시 출범과 국가발전방안’ 세션에서는 국토 균형 발전의 새장을 열게 될 ‘중부 신수도권 구상’이 집중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충청권을 수도권에 대응하는 국가 균형 발전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데 공감을 나타냈다. 또 충청권이 지난 7월 세종시 출범을 계기로 오창과학산업단지, 오송 바이오산업단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사업 등으로 인해 국토에서 가장 역동적인 변화가 펼쳐지고 있는 지역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 같은 성장 잠재력을 한데 끌어모으기 위한 방안으로는 ‘네트워크형 거대도시권 형성’이 제기됐다. 박양호 국토연구원장 등 주제발표자들은 “2030년 세종시를 중심으로 대전, 청주·청원 등 30분거리 공간에 400만~500만 인구 규모의 거대 도시권이 형성된다”며 “권역 내 거점도시별 산업과 기능 교통인프라 등을 광역도시권에서 통합 운영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행사에 참석한 광역자치단체장들은 “이번 컨퍼런스가 충청권 제2 수도 구상이란 새로운 길을 제시한 뜻깊은 행사였다”며 “향후 충청권 발전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각 거점도시들이 가진 강점과 특성을 통합 운영한다면 이곳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초거대도시)로 부상하게 될 것”이라며 “충청권 지자체들이 손을 잡고 광역 개발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세종시 출범을 계기로 대전 충·남북 3개 시도는 지난해 말부터 충청권 경제포럼을 출범시켜 지역 현안에 대한 상생협력과 공동발전 방안을 모색해오고 있다”며 “이를 통해 최근에는 국회 분원 세종시 설치, 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정부지원 강화, 청주공항 인프라 지원 등을 대선 공약화하기로 합의했다”고 소개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우선 시급한 것이 남북축에 비해 연계가 부족한 동서축 각종 교통인프라 확충”이라며 “세종시 연결도로, KTX 오송역 및 청주국제공항 접근성 개선, 청주국제공항의 세종시·충청권 허브관문 육성 등에 힘을 모으자”고 강조했다. 유한식 세종시장은 “세종시와 인접 도시들 간 접근성 강화를 위해 도시 간 철도 건설, 기존 도로 확장·증설 및 순환도로 신설 등의 교통망 구축이 절실하다”며 “세종시가 중부권 핵심도시로 발전하기 위해 주변 도시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경·대전일보 공동 주최 ◆특별취재팀= 김태철 차장·최성국 차장·임호범 기자·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