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후보·가설정당…說說 끓는 '안철수 시나리오'
시민후보·가설정당…說說 끓는 '안철수 시나리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대권 출마가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안 원장과 친분이 있는 김효석 민주통합당 전 의원은 31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안 원장이) 이제는 입장을 결정해야 할 임계시점에 와있지 않나 생각한다”며 “너무 오래끌 수 없는 문제 아닌가”라고 말했다.

안 원장이 민주당의 대선 경선이 끝나는 9월 말에 대선 출마를 공식화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 안팎의 관측이다. 안 원장은 출마를 전제로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나리오는 시민후보론(무소속 출마)과 민주당과의 합당을 전제로 한 가설정당론, 민주당 입당 등 대체로 세 가지로 요약된다.

이 중 가장 무게가 실리는 시나리오는 시민후보론이다. 안 원장과 민주당 대선후보, 진보세력(시민사회+통합진보당 탈당파)이 선거연합뿐만 아니라 정책협약을 통해 ‘정부연합’을 약속하자는 구상이다. 안 원장이 후보단일화에서 이기면 시민의 지지를 토대로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안이다. 이는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박원순 무소속 후보와 민주당이 취했던 방식과 유사하다. 이 경우 민주당은 당 간판으로 후보를 못내게 돼 국고보조금 152억원을 날리게 된다. 후보단일화에서 민주당 후보가 승리하면 역시 시민후보라는 이름으로 출마하되 민주당 기호인 2번을 유지하게 된다.

이 같은 ‘시민연합정부론’을 제기한 김헌태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는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민주당, 안 원장, 진보정치 세력 간 포괄적인 연합의 틀을 만들어내지 못하면 결국 후보단일화도 민주당 후보와 안 원장 개인 간 약속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새로운 정치연합의 틀을 구축해서 공동 국정세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각에서 제기된 ‘공동정부론’에 대해서는 “안 원장은 세력도 공식화된 정책도 없기 때문에 공동정부라는 것은 애초부터 성립 조건이 안된다”고 말했다.

가설정당론은 안 원장보다 민주당이 원하는 방안이다. 안 원장이 후보단일화에서 승리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하면 민주당은 서울시장 선거에 이어 대선에서도 당 간판으로 후보를 내지 못하는 불임정당으로 전락하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 민주당과의 합당을 전제로 한 가설정당을 안 원장이 만들어 후보단일화에 임해야 한다는 것이다. 안 원장이 야권 단일후보가 되더라도 11월25일 이전에 합당하면 기호 2번을 유지하게 된다. 이철희 두문정치연구소장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새 정치를 강조하는 안 원장이 당을 쪼갰다가 합치는 기존 정치권의 행태를 선택하겠느냐”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안 원장이 민주당 대선후보와 단일화 경선에서 승리할 경우 민주당에 들어와 대선을 치르는 ‘민주당 입당론’도 거론되지만 가능성은 희박하다. 후보단일화 방식으로는 △여론조사(노무현-정몽준 식) △추가 경선(박원순-박영선 식) △특정후보의 양보(박원순-안철수 식)가 거론된다.

물론 안 원장이 불출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민주당 대선 후보 지지율이 20%를 돌파하면 안 원장과의 경쟁에서 승산이 있다”며 “민주당 후보가 상승세를 타면 안 원장이 출마를 고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