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금강에선…"친수형 관광지로" vs "갯벌 복원 먼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상매립지 두고 군산·서천 갈등
금강을 사이에 둔 이웃 도시인 전북 군산시와 충남 서천군이 금강하구 주변 토사로 쌓인 해상매립지(사진) 처리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관광지로 개발하려는 군산시 계획에 맞서 서천군이 금강하구의 환경 파괴를 주장하며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군산과 서천을 연결하는 금강하구둑 밑에는 상류에서 내려온 토사로 삼각주가 만들어졌다. 금강하구둑이 완공된 1990년부터 토사가 쌓이기 시작해 면적만 207만㎡에 이른다. 이곳은 국토해양부가 매립공사를 벌여 최근 인공섬으로 조성했다. 지난 5월에는 친수 관광지로 개발하기 위한 용역도 발주했다. 군산시는 내년 4월에 끝나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2020년까지 7600억원을 들여 축구장 등 친수형 관광지로 조성하기로 계획을 수립했다. 군산시 관계자는 “해상매립지 개발은 2007년 12월 이미 국토해양부 승인까지 받았고 지난해 7월에는 국토부의 항만기본계획상 항만친수시설로 반영·고시돼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서천군은 즉각적인 용역 중단과 금강 하구연안에 대한 종합 복원대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토부 용역은 항만친수시설을 위한 것이 아니라 환경을 파괴하는 대규모 관광·위락시설을 기반으로 한 해상도시 건설을 위한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서천군은 그동안 금강하구둑을 만들고 군산국가산단 조성과 군산 LNG복합화력발전소 건립 등으로 조개 등을 캘 수 있는 갯벌이 사라져 연간 1050억원의 수산업 피해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서천지역 주민들은 ‘군산 해상도시 건설저지 비상대책위원회’를 조직하고 정부에 용역 중단과 금강하구 기능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나소열 서천군수는 “용역 내용을 보면 해상도시 건설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판단된다”며 “정부는 생태계 한계를 보이고 있는 금강 하구 연안의 기능이 회복되도록 먼저 복원대책부터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천=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군산과 서천을 연결하는 금강하구둑 밑에는 상류에서 내려온 토사로 삼각주가 만들어졌다. 금강하구둑이 완공된 1990년부터 토사가 쌓이기 시작해 면적만 207만㎡에 이른다. 이곳은 국토해양부가 매립공사를 벌여 최근 인공섬으로 조성했다. 지난 5월에는 친수 관광지로 개발하기 위한 용역도 발주했다. 군산시는 내년 4월에 끝나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2020년까지 7600억원을 들여 축구장 등 친수형 관광지로 조성하기로 계획을 수립했다. 군산시 관계자는 “해상매립지 개발은 2007년 12월 이미 국토해양부 승인까지 받았고 지난해 7월에는 국토부의 항만기본계획상 항만친수시설로 반영·고시돼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서천군은 즉각적인 용역 중단과 금강 하구연안에 대한 종합 복원대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토부 용역은 항만친수시설을 위한 것이 아니라 환경을 파괴하는 대규모 관광·위락시설을 기반으로 한 해상도시 건설을 위한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서천군은 그동안 금강하구둑을 만들고 군산국가산단 조성과 군산 LNG복합화력발전소 건립 등으로 조개 등을 캘 수 있는 갯벌이 사라져 연간 1050억원의 수산업 피해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서천지역 주민들은 ‘군산 해상도시 건설저지 비상대책위원회’를 조직하고 정부에 용역 중단과 금강하구 기능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나소열 서천군수는 “용역 내용을 보면 해상도시 건설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판단된다”며 “정부는 생태계 한계를 보이고 있는 금강 하구 연안의 기능이 회복되도록 먼저 복원대책부터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천=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