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GS, 공공기관에 기름넣기 '1조 전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류 공동구매 입찰에 SK·GS만 참여
점유율 걸린 싸움…"일감 몰아주기" 비판도
점유율 걸린 싸움…"일감 몰아주기" 비판도
SK와 GS가 1조원 규모의 공공부문 기름 공급권을 놓고 맞붙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마감한 9200억원 규모의 정부 공공부문 유류 공동구매 입찰에 SK네트웍스와 GS칼텍스가 참여했다. 전국적으로 고른 주유소 거점을 가진 두 곳 중 운영 시스템과 이용 편리성, 가격 등을 고려해 한 곳이 선정된다. 조달청 관계자는 “조만간 공급 정유사를 확정짓고 공공기관 유류 공동구매 확대 등 향후 운영 방안과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일단 처음인 만큼 이번 입찰에서는 항공유, 벙커C유 등 중질유 수요처와 저장시설이 있는 기관을 제외해 5억ℓ의 유류를 1년간 계약한다. 선정된 정유사는 9278억원어치의 휘발유와 경유를 공급하게 된다. 알뜰주유소의 연간 구매 물량인 3억8000만ℓ보다 많은 규모다. 지난해 휘발유와 경유 국내 소비량인 323억4187만ℓ의 1.5%에 해당한다. 향후 전체 기관으로 확대되면 정부의 공동구매 물량 비중은 8.7%로 늘어난다.
정유사 간 점유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물량 입찰에 현대오일뱅크와 에쓰오일이 빠진 까닭은 전국적인 거점 주유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올 6월 기준 SK 주유소는 4408곳, GS칼텍스는 3268곳, 현대오일뱅크 2380곳, 에쓰오일은 1960곳이다.
ADVERTISEMENT
정부는 공동구매 효과를 강조하지만 물량 몰아주기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향후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입찰물량을 확대해 구매력을 키우겠다는 것이 정부의 생각이다. 그러나 기존 지방자치단체 물량은 석유대리점이나 개별 주유소들이 입찰을 통해 납품해왔다. 앞으로 이 물량까지 중앙부처의 공동구매 물량에 포함되면 한 정유사에 물량을 몰아주는 역차별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얘기다.
정유사 입장에서도 그리 탐탁지는 않다. 알뜰주유소와 더불어 공공부문 물량까지 경쟁 입찰하면서 기름값 인하 압박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유업계 1, 2위인 SK에너지와 GS칼텍스는 올 2분기 정유부문에서 각각 4597억원, 4809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ADVERTISEMENT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