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경청 "2~3년 지나야 연관성 알 수 있을 것"

민주통합당 장하나 의원은 9일 "4대강 사업이 녹조 재앙을 키웠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은 이날 오전 경남 합천창녕보를 방문, 지역 환경단체와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장 의원은 회견에서 수질 개선을 목표로 한 4대강 사업이 오히려 녹조현상을 유발, 수질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보를 세워) 물의 흐름을 막으면 수질이 나빠지는 건 당연하다"며 "4대강 사업 이전에 비해 현재 물의 체류시간이 현저히 늘어난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김좌관 부산 가톨릭대학교 교수의 '4대강 녹조현상 분석자료'를 인용, 과거 낙동강 조류현상은 현재와 달리 주로 하류에서만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최근 경남 일대뿐만 아니라 낙동강 중류의 달성보, 강정고령보까지 조류가 확산된 것은 보 구조물이 물 흐름을 막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는 1994년 기록적인 폭염 당시에도 지금처럼 녹조가 번성하지는 않았다며 최근의 녹조현상이 폭염과 가뭄 탓만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장 의원은 조류 번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결국 보 수문을 개방해 물 흐름을 과거와 같이 원활하게 만드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2011년 7월 작성된 환경부 문건을 제시하며 4대강 보 일대 하천을 '조류경보제'에 따라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문건에는 '4대강 사업 이후 하천 형상이 호소형으로 변형되고'라고 적혀 있다.

장 의원은 이를 근거로 수질예보제 대신 호소 수질관리기준인 조류경보제를 낙동강 보 일대 하천 수질관리에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이 발표한 최근 낙동강 보 지점 조류농도 자료에 따르면 조류경보제를 적용할 시 상주보와 창녕함안보를 제외한 나머지 낙동강 6개 보가 조류주의보 또는 경보 수준이다.

그러나 낙동강 보 일대 하천은 조류경보제보다 기준이 느슨한 '수질예보제'에 따라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지난 6월 이후 한 번도 수질예보가 발령된 적이 없다.

합천창녕보ㆍ창녕함안보ㆍ달성보에서는 간질환을 유발하는 유해물질 마이크로시스티스(mycrocystis)가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청 측은 최근 기록적인 폭염과 강수량 감소에 따라 녹조현상이 나타났으며, 고도정수처리시설이 갖춰져 있어 수질에는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김상배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현재로서는 녹조현상과 4대강 사업의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며 "관련 데이터가 2~3년 축적된 뒤라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합천ㆍ창녕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k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