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은 황제가 되고 나서 자신의 얼굴을 그린 초상화를 전국에 뿌렸다. 커다란 턱에 튀어나온 광대뼈, 굵직한 코에 이마도 돌출된 데다 피부는 여기저기 얽은 흔적이 있는 얼굴이었다. 잘생기고 위엄 있게 그려도 시원찮을 판에 못생긴 정도를 넘어 흉측한 모습으로 황제의 모습을 그린 이유는 뭘까.

《왕의 얼굴》은 한국 중국 일본의 군주 초상화를 삼국의 역사 속에서 바라본다. 모든 미술작품은 시대,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지만 군주의 초상화는 특히 더 그렇다. 당대 최고의 화가들이 동원돼 어마어마한 국가적 지원과 관심 아래 그렸기 때문이다.

중국은 유명한 다섯 산과 방위를 묶어 중앙 동악 서악 남악 북악이라 칭했는데 사람의 얼굴에 있는 코, 양쪽 광대뼈, 이마와 턱도 오악이라 불렀다. 이 오악이 산처럼 높고 클수록 대길(大吉)하다고 봤고, 주원장도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먹고살 길이 막막해 생계형 탁발승까지 했던 가난한 농민 집안 출신 황제는 백성들에게 자신이 황제감이라는 것을 널리 알릴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못생긴 얼굴이지만 가장 좋은 관상을 지닌 얼굴로 자신을 묘사한 이유다.

조선시대 왕의 초상인 어진(御眞) 제작 과정은 훈련도감급의 사업이었다. 어진을 그리기 위해서는 제작 전반을 담당할 임시기구로 도감(都監)을 설치했다. 어진도감에서는 추천이나 시험을 통해 화사를 선발했는데, 초상에서 얼굴 부분을 담당하는 주관화사, 임금 몸체에서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담당하는 동참화사, 채색을 돕는 수종화사의 위계로 적게는 6명에서 많게는 13명까지 뽑았다. 정조 15년에 뽑힌 어진화사를 보면 주관화사 이명기, 동참화사 김홍도, 수종화사 허감 한종일 김득신 신한편 이종현으로 당대 최고의 화가가 모두 동원됐다.

한중일 삼국은 군주 초상을 바라보는 시각도 달랐다. 중국에서 황제의 초상은 선전 수단이었고, 일본에서 왕의 초상은 애도와 추모의 느낌이 강하게 담겨 있다. 한국의 경우 극단적인 사실감을 강조해 왕권의 정통성을 대변하는 상징물로 제작했다. 성균관대 예술대 미술학부 교수이자 초상화 분야 권위자인 저자는 ‘동아시아 삼국 군주 초상화’라는 강연 내용을 토대로 군주 초상화의 해설과 작품의 뒷이야기까지 생생하게 담아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