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입 수능에서 대도시와 읍·면 지역의 성적 차이는 줄었지만 공립과 사립 고교 간 격차는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구, 강원 횡성군, 전남 장성군 등은 지난해에도 여전히 다른 지역보다 성적이 우수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3일 이런 내용의 ‘2012학년도 수능성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230개 시·군·구 가운데 강원 횡성군은 인문계가 주로 보는 수리가 영역에서 1·2등급 비율 39.3%로 1위를 차지했고 언어 영역은 2위, 외국어 영역은 5위를 차지하는 등 높은 성적을 보였다. 전남 장성군 역시 자연계가 주로 보는 수리나 영역에서 1·2등급 비율이 47.8%로 1위를 차지한데 이어 언어 4위, 수리가 5위, 외국어 6위 등을 나타냈다. 경기 가평군은 언어에서 30.1%, 외국어에서 38.9%로 각각 1위를 차지하는 등 영역별로 높은 성적을 보였다. 횡성군에는 민족사관고가, 장성군에는 군내 유일한 사립 자율고로 전국단위 모집을 하는 장성고(학년별 학생 270여명)가, 가평군에는 청심국제고가 있어 성적우수 학생 비율이 높았다.

모든 영역에서 1·2등급 비율 상위 30위에 포함되는 기초자치단체는 모두 13개로 서울 강남구와 광진구 및 서초구, 부산 연제구와 해운대구, 대구 수성구, 경기 과천시와 김포시, 충남 공주시, 강원 횡성군, 충북 청원군, 전남 담양군과 장성군 등이다. 장성군은 수능 표준점수 평균도 모든 영역에서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장성고 때문이다.

서울 강남과 서초구를 제외한 나머지 1·2등급 상위 시·군·구 역시 외국어고, 자립형 사립고 등 특수목적고가 지역에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대원외고, 부산외고·부산과학고, 과천외고, 경기외고, 민족사관고 등이 이들 지역의 대표적 학교다.

시·도별로는 서울, 제주, 광주가 모든 영역에서 1·2등급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인천과 울산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김경훈 교육과정평가원 본부장은 “대도시와 읍·면지역의 언어 평균 표준점수 차이가 2010학년도 8.8점에서 2012학년도 7.3점으로 줄어들었고, 자기주도 학습시간이 많고 EBS 수강시간이 많은 학교일수록 표준점수 평균이 높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공립고와 사립고의 차이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사립고는 국·공립고보다 언어 3.1점, 수리가 2.9점, 수리나 4.2점, 외국어 4.2점이 높았다. 1·2등급 비율도 모든 영역에서 사립고가 높았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