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최대 은행 산탄데르가 스위스 대형 투자은행 UBS를 제치고 유럽(영국 제외) 시가총액 1위 은행 자리에 올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불확실성으로 UBS 주가가 부진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UBS 주가는 올해 1월 2일 30.88스위스프랑에서 이날 22.99프랑으로 하락하며 약 25.55% 떨어졌다. 반면 산탄데르 주가는 같은 기간 6.38유로에서 6.73유로로 약 5.49% 올랐다. 산탄데르 시가총액은 913억유로(약 147조6300억원)를 기록하며, 857억유로(약 138조5800억원)로 내려앉은 UBS를 넘어 1위를 차지했다.UBS는 지난해 8월 크레디트스위스(CS)를 전격 인수한 이후 유럽 증시에서 시총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지난 2월 UBS의 시총은 1200억유로에 육박했으나 최근 유럽 주요 은행 대비 부진한 주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UBS의 미국 시장 노출도가 높다는 점이 최근 주가 약세 원인이라고 짚었다.요한 숄츠 모닝스타 애널리스트는 “UBS는 전체 수익의 약 3분의 1을 미국에서 거뒀다”며 “이번 트럼프 행정부 관세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안드레아스 벤디티 폰토벨 애널리스트도 “UBS는 다른 유럽 은행 대비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고, 글로벌 분산 비중도 커 지정학적 리스크에 더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스위스 내에서 논의 중인 은행 자본 규제 개편도 UBS 주가에 부담 요인”이라고 덧붙였다.UBS는 최근 스위스 정부와 자본 규제 강화를 놓고 충돌했다. 콜름 켈러 UBS 회장은 최근 연례 주주총회에서 “당국이 제시한 자본 규제안은 자본비율을 50%가량 추가로 높여야 하는 극단적인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
이번주에는 로킷헬스케어와 나우로보틱스, 원일티엔아이,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등이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일반 청약에 나선다.재생치료 전문기업인 로킷헬스케어는 오는 23~24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 희망 공모가는 주당 1만1000~1만3000원이다. 100% 신주로 156만 주를 공모한다. 공모 자금(최대 203억원)은 연구개발 및 글로벌 마케팅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SK증권과 KB증권이다.나우로보틱스와 원일티엔아이는 24~25일 청약을 한다. 나우로보틱스는 2016년 설립된 지능형 로봇기업이다. 산업용 로봇과 자율주행 물류로봇, 로봇 자동화 시스템 등을 개발한다. 공모가는 5900~6800원이다. 상장 후 시가총액은 740억~853억원으로 예상된다. 대표주관사는 대신증권, 공동 주관사는 iM증권이다.원일티엔아이는 친환경 에너지 산업에 쓰이는 소재·장비에 특화한 회사다. 지난해 매출은 422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64억원으로, 전년(29억원) 대비 두 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순이익은 79억원이었다. 희망 공모가는 1만1500~1만3500원이며 최대 162억원을 공모한다. 공모자금은 수소저장합금 생산설비인 용해로 교체 등 시설투자, 회사 운영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상장 주관 업무는 NH투자증권이 맡고 있다.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25일부터 일반 청약을 한다. 이 회사는 줄기세포를 배양해 인체 장기를 구현하는 오가노이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을 적용한 난치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목표다. 적자가 지속된 상황이어서 기술특례상장을 추진 중이다. 공모 희망가는 1만7000~2만1000원이며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올 상반기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로 꼽히는 DN솔루션즈는 22일부터 28일까지 기관투자
“창고 뒤에 사람이 쓰러졌습니다. 119에 신고하세요.”에스원이 인공지능(AI)이 접목된 ‘지능형 CCTV(방범용 카메라)’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단순히 녹화된 영상을 확인하는 것을 넘어 사건·사고 발생 시 AI가 위급 상황을 알려 피해를 최소화하는 ‘생각하는 CCTV’다.에스원은 지능형 CCTV와 결합된 AI 방범 솔루션 ‘AI에이전트’(사진)를 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AI에이전트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사람 대신 상황을 파악하고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지능형 업무자동화 시스템이다.지능형 CCTV는 마치 사람처럼 보안 관제 업무를 수행한다. 지능형 CCTV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폭행, 침입, 화재, 위험물 방치 등 이상 상황을 포착해 사용자에게 즉시 알림을 전송한다.에스원이 선보인 AI에이전트는 기존 지능형 CCTV에서 한 단계 진화해 위험 상황을 스스로 감지한 뒤 사용자에게 설명하고 대응 방안까지 신속하게 제시한다. 예를 들어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구역 파악 △안내 방송 실시 △119에 긴급 연락 등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화면을 통해 안내해주는 식이다.사건 발생 후 증거 확보를 위해 활용되는 CCTV 분석 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대화형 AI 챗봇을 통해 원하는 조건, 상황 등을 입력하면 그에 맞는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해 제공한다.에스원 측은 AI에이전트의 상용화가 보안업계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공공기관에 설치된 CCTV는 약 176만 대로 10년 전보다 120만 대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CCTV를 감시·운영하는 관제 인력은 2011년 9200여 명에서 2024년 4093명으로 감소했다. 에스원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