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가계동향 살펴보니…가구당 月소득 400만원 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계대출 이자 18% 늘어 '부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처음으로 400만원을 넘어섰다. 취업자 수가 늘면서 소득은 늘었지만 물가 상승과 가계대출 이자 부담으로 소비지출은 소득 증가율보다 낮았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국 가구(2인 이상)의 월평균 소득은 412만3000원으로 지난해 1분기에 비해 6.9% 증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3.8%였다.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46만명가량 늘었고, 특히 임시직·일용직보다 상용직 근로자 비중이 커지면서 근로소득이 8.2% 증가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계층별로는 월소득 121만원으로 하위 20%(1분위)인 저소득층의 소득이 9.3%로 가장 많이 늘었다. 고용 사정이 개선되면서 하위 계층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월 소득 262만~493만원의 2~4분위 계층도 8%대의 소득 증가율을 보였다. 상위 20%인 1분위의 소득 증가율은 4.5%로 5분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중하위 계층의 소득이 늘면서 적자 가구 비율도 지난해 1분기의 30.5%에서 28.4%로 떨어졌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56만8000원으로 5.3%(실질 증가율은 2.2%)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이 늘어난 만큼 세금이나 사회보험료 부담이 커진 탓이다. 가계대출이 늘어나면서 이자로 나가는 돈만 월평균 9만6000원에 달했다. 지난해보다 18.3% 증가한 수치다.
이 결과 소득에서 세금과 사회보험료, 금융회사 대출이자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33만3000원으로 증가율이 6.8%로 줄었다. 이 중 소비지출로 256만8000원이 나갔고, 나머지 76만5000원이 흑자액으로 남았다. 저축 능력을 보여주는 흑자액 규모는 지난해 1분기보다 12.2% 늘었고 흑자율도 1.1%포인트 상승했다. 실제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 비중을 보여주는 소비성향도 77.0%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포인트 줄었다.
소비지출은 대학등록금 인하로 교육비만 1.4% 줄었을 뿐 주거·수도·광열 등 기본 생활비(6.9%) 통신비(7.1%) 외식·숙박(7.9%) 등 모든 항목이 증가했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국 가구(2인 이상)의 월평균 소득은 412만3000원으로 지난해 1분기에 비해 6.9% 증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3.8%였다.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46만명가량 늘었고, 특히 임시직·일용직보다 상용직 근로자 비중이 커지면서 근로소득이 8.2% 증가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계층별로는 월소득 121만원으로 하위 20%(1분위)인 저소득층의 소득이 9.3%로 가장 많이 늘었다. 고용 사정이 개선되면서 하위 계층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월 소득 262만~493만원의 2~4분위 계층도 8%대의 소득 증가율을 보였다. 상위 20%인 1분위의 소득 증가율은 4.5%로 5분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중하위 계층의 소득이 늘면서 적자 가구 비율도 지난해 1분기의 30.5%에서 28.4%로 떨어졌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56만8000원으로 5.3%(실질 증가율은 2.2%)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이 늘어난 만큼 세금이나 사회보험료 부담이 커진 탓이다. 가계대출이 늘어나면서 이자로 나가는 돈만 월평균 9만6000원에 달했다. 지난해보다 18.3% 증가한 수치다.
이 결과 소득에서 세금과 사회보험료, 금융회사 대출이자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33만3000원으로 증가율이 6.8%로 줄었다. 이 중 소비지출로 256만8000원이 나갔고, 나머지 76만5000원이 흑자액으로 남았다. 저축 능력을 보여주는 흑자액 규모는 지난해 1분기보다 12.2% 늘었고 흑자율도 1.1%포인트 상승했다. 실제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 비중을 보여주는 소비성향도 77.0%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포인트 줄었다.
소비지출은 대학등록금 인하로 교육비만 1.4% 줄었을 뿐 주거·수도·광열 등 기본 생활비(6.9%) 통신비(7.1%) 외식·숙박(7.9%) 등 모든 항목이 증가했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