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대인플레이션 조사 방식을 10년 만에 개편한다. 현행 조사 방식이 향후 1년간 물가의 기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관련 부서에 측정 방식 개선을 지시한 상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기대인플레이션 수치를 인위적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방안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주관식 설문 등으로 다양화

한은 관계자는 2일 “보다 정확한 물가예측을 위해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 조사 방식을 연내 바꾸기로 하고 5년마다 이뤄지는 표본(설문조사 대상) 개편과 더불어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현재 소비자동향조사 항목 중 하나로 전국 56개 도시의 22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일반인들에게 지난 1년간 연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보여준 뒤 향후 1년간의 예상 물가상승률을 구간별로 체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현재 검토 대상인 개편 방안은 숫자 설문 외에 향후 1년간 물가가 현재 물가 수준에 비해 △매우 높아진다 △높아진다 △ 비슷하다 △낮아진다 △매우 낮아진다 등 물가의 ‘상승 정도’를 추가로 묻는 방식이다. 유럽연합(EU)도 이런 조사 방식을 쓰고 있다. 예상하는 물가 상승률을 직접 기재하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은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여러 방안을 마련해 하반기 중 모의 설문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대인플레이션 떨어질까

기대인플레이션은 물가 안정을 추구하는 정부나 한은이 주의깊게 보는 지표 중 하나다. 미래 물가동향을 미리 짚어볼 수 있는 정보인 데다 기대심리가 가수요를 일으켜 현재의 물가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 같은 점에서 현행 기대인플레이션은 물가 예상 지표로서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정익 한은 전문연구원은 “기대인플레이션은 한 번 오르거나 내리면 꾸준히 그 추세를 유지하는 강한 지속성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미래 전망에 따라 움직이지 않고 과거 흐름을 따라간다는 의미다. 또 설문 조사 시기 전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비슷하게 움직인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이러다 보니 예측 대상 시점인 1년간의 기대인플레이션과 실제 소비자물가가 따로 논다는 비판도 많았다. 금융계의 한 이코노미스트는 “자동차로 비교하면 현행 조사 방식은 백미러를 보여주면서 앞을 보라고 하는 꼴”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개편을 곱지 않게 쳐다보는 시선도 있다. 기대인플레이션이 기대(?)한 만큼 안정을 찾지 못하자 조사 방법을 바꾸기로 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다. 작년 11월 정부가 물가지수 개편안을 조기에 적용하면서 군 단위로 조사 지역을 확대하고 가격이 크게 오른 금반지를 빼는 방식으로 소비자물가지수를 떨군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기대인플레이션은 지난 2월까지 8개월 연속 4%대를 유지하다 3월 3.9%, 지난달에는 3.8%로 하락했다. 4% 아래로 떨어지긴 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물가 불안에 대한 우려가 가시지 않고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대해 한은은 “물가 예측 지표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 기대인플레이션

기대인플레이션은 일반인이 예상하는 미래의 물가상승률을 말한다. 향후 1년간 예상되는 평균 물가상승률을 설문조사해 한국은행이 발표한다.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실제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얼마나 올랐는지를 보여준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