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 GPS 공동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 독자 시스템 견제
미국과 일본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대상으로 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공동 개발에 나선다. 독자적인 GPS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의도다. 위치정보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요미우리신문은 30일 “미국과 일본 정부가 GPS 공동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1일 열리는 정상회담의 공동성명에 포함시킬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중국은 1990년대 말부터 독자적인 GPS 구축에 나섰다. 작년 12월에는 중국판 GPS인 ‘베이더우(北斗)’의 시험가동에도 성공했다. 미국의 GPS와 러시아의 글로나스(glonass)에 이어 세 번째로 독자적인 GPS를 구축한 것이다. 유럽연합(EU)은 2014년을 목표로 ‘갈릴레오’라는 GPS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중국은 올해 추가로 6기의 인공위성을 발사할 방침이다. 아시아·태평양 전 지역의 위치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2020년까지 30기의 궤도위성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일본 등 대부분의 나라들이 미국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에 활용하고 있다. 우주 공간에 쏘아올린 인공위성 숫자도 미국이 가장 많다. 군사용과 정부용, 상업용을 모두 포함해 현재 우주에서 가동 중인 전체 위성은 총 994기. 이 중 미국이 441기를 운용 중이고, 러시아(101기) 중국(83기) 일본(41기) 등이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4기의 위성을 갖고 있다. 이들 위성 가운데 10%가량이 GPS에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도 최근까지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GPS 구축을 고려했다. 2010년 내각부에 ‘우주전략실’을 신설한 뒤 ‘미치비키’라는 이름의 GPS 전용 위성도 발사했다. 그러나 현실적인 격차가 컸다. 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을 상대하기에는 벅찼다. 미국과의 공동 개발을 결정하게 된 이유다.
도쿄=안재석 특파원 yagoo@hankyung.com
요미우리신문은 30일 “미국과 일본 정부가 GPS 공동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1일 열리는 정상회담의 공동성명에 포함시킬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중국은 1990년대 말부터 독자적인 GPS 구축에 나섰다. 작년 12월에는 중국판 GPS인 ‘베이더우(北斗)’의 시험가동에도 성공했다. 미국의 GPS와 러시아의 글로나스(glonass)에 이어 세 번째로 독자적인 GPS를 구축한 것이다. 유럽연합(EU)은 2014년을 목표로 ‘갈릴레오’라는 GPS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중국은 올해 추가로 6기의 인공위성을 발사할 방침이다. 아시아·태평양 전 지역의 위치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2020년까지 30기의 궤도위성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일본 등 대부분의 나라들이 미국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에 활용하고 있다. 우주 공간에 쏘아올린 인공위성 숫자도 미국이 가장 많다. 군사용과 정부용, 상업용을 모두 포함해 현재 우주에서 가동 중인 전체 위성은 총 994기. 이 중 미국이 441기를 운용 중이고, 러시아(101기) 중국(83기) 일본(41기) 등이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4기의 위성을 갖고 있다. 이들 위성 가운데 10%가량이 GPS에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도 최근까지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GPS 구축을 고려했다. 2010년 내각부에 ‘우주전략실’을 신설한 뒤 ‘미치비키’라는 이름의 GPS 전용 위성도 발사했다. 그러나 현실적인 격차가 컸다. 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을 상대하기에는 벅찼다. 미국과의 공동 개발을 결정하게 된 이유다.
도쿄=안재석 특파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