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교정, 가장 좋은 시기가 따로 있다?
[이송이 기자] 단정하고 아름다운 얼굴로 바꾸어 주는 치아교정. 치아교정은 초등학생이 받기도 하고 청소년기인 중고등학생이 받기도 한다. 그런가하면 대학생이나 성인들 심지어는 중년의 남성이나 여성이 받기도 한다. 그렇다면 치아교정에는 연령의 재한이 없는 것일까? 만약 치아교정에 가장 적절한 시기가 있다는 그것은 어느 때일까?

치아교정이 가장 효과적인 시기는 9세~15세라고 한다. 교정의 최적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6세부터 정기적인 진찰을 받아 개개인에게 적합한 교정시기를 찾는 것이 좋다. 그러나 치아교정은 사실 나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6세의 아동도 때로는 나중에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기에 교정치료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청년층은 물론 중장년층도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치아교정을 받을 수 있다.

소아나 청소년의 경우에는 영구치가 다 나지 않았어도 교정치료를 받아야 할 경우가 있다. 골격의 부조화가 있다든지 영구치가 날 자리가 부족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성인과는 달리 턱뼈가 성장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턱뼈의 부조화가 있더라도 남아있는 성장을 이용하는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 따라서 소아의 경우 만 6세 정도에 교정 진단을 받고 턱뼈의 부조화가 잇을 경우 필요하다면 '악기능 교정장치'를 이용한 치료를 시작하여 성장 후 턱 수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화이트스타일치과 김준헌 원장(치의학 박사)는 “사회생활이 많은 성인, 특히 외모에 민감한 직업을 가진 전문인들이 교정치료를 원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이런 요구에 맞춰 일반적인 교정장치에 비해 심미적인 혹은 교정장치가 덜 보이는 교정장치와 교정치료기법들이 개발되었습니다”라고 말한다.

김 원장은 또 “기존의 금속성 교정장치 대신에 세라믹 혹은 레진 교정장치를 사용하면 금속장치보다 덜 보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치아의 바깥쪽이 아닌 안쪽 즉 혀쪽에 장치를 부착하여 치료하는 '설측교정치료' 장치와 기법도 발전되었습니다. 부착식 교정장치가 아닌 즉 끼웠다 뺐다하는 일련의 '투명한 장치'를 이용하여 교정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치아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치과병원을 찾아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의 교정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라고 치아교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 18평 내 집 VS 26평 전세 “미혼남녀의 선택은?”
▶ 드디어 출시된 뉴 아이패드 “통신사는 어디로?”
▶ 팬택 베가레이서2, 갤스3-아이폰5보다 선 공개
▶ 신형 ‘싼타페’ 출시 ‘7년만’ … 4,300억원 투자한 결과?
▶ 기아 ‘K9’ 실내공간 들여다보니 “웅장한 디자인에 감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