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은 마이너스통장대출 줄어 소폭 감소

3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세에 제동이 걸렸다.

대기업이 1분기 말 부채비율 관리에 들어간 탓에 증가규모가 많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 민간대출 숨 고르기

한국은행이 12월 발표한 `3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은행의 기업대출은 지난달 말 571조2천807억원으로 전월보다 3조2천억원 늘었다.

증가 규모는 전월(5조1천억원)보다 축소됐다.

연초 대기업의 운전자금 수요는 컸지만 부채 군살빼기에 돌입하면서 대출증가 규모가 전달(4조3천억원)의 ⅓인 1조518억원에 그쳤다.

중소기업대출은 법인세 납부자금 수요가 늘어 2조1천억원을 기록했다.

은행의 개인사업자대출 확대 노력도 영향을 미쳤다고 한은은 평가했다.

가계대출은 452조2천억원으로 4천억원 줄어 감소로 전환했다.

주택시장의 거품이 빠지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지난해 같은 달 2조5천억원에서 1조4천억원으로 감소했다.

마이너스통장대출은 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과 일부 기업의 신주인수권부사채 청약자금 환불에 힘입어 1조5천억원 감소했다.

은행 수신은 3월 말 현재 1천112조7천억원으로 전월말보다 15조2천억원 늘었다.

수신 증가는 3월 말 휴일에 따라 세금납부가 4월 초로 넘어가면서 수시입출금식 예금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수시입출금식 예금은 2월 8천억원 감소에서 지난달 10조9천억원 증가로 반전했다.

정기예금은 연말·연초에 빠져나갔던 법인자금이 다시 들어오는 2월에 11조9천억원 늘었지만 지난달에는 기저효과로 4조8천억원 증가에 그쳤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303조5천억원으로 4조원 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주식형 펀드의 순유출은 이어졌지만, 머니마켓펀드(MMF)와 채권은 법인 단기자금이 몰려 각각 4조9천억원, 1조9천억원 늘었다.

◇시중 통화량 증가율 가속

재정 조기 집행으로 정부부문의 통화 공급이 늘어 지난달 시중 통화량 증가율은 상승했다.

한은은 광의통화(M2)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평잔 기준으로 지난달 5% 중반을 기록하면서 전달보다 오를 것으로 추정했다.

M2는 현금과 은행 요구불예금 및 수시입출금예금(MMDA) 등으로 구성된 단기자금 지표인 협의통화(M1)에 예금취급기관의 기간물 정기 예·적금 및 단기 저축성 예금, 시장형 금융상품 등 자산 증식이나 저축 수단으로 보유하는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한은이 이날 함께 발표한 `2012년 3월 중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3월 M2 잔액은 작년 동기보다 5.3% 늘어난 1천768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ㆍ기업대출 모두 크지 않은데도 통화량 증가율이 올해 1월(4.8%), 2월(5.3%)에 이어 오름세인 것은 정부의 확대 재정정책 때문이다.

특히 "2년 미만 정기예ㆍ적금과 머니마켓펀드(MMF)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대규모 법인과 개인들의 정기예금 잔액이 크게 늘어 2년 미만 정기 예·적금이 계절조정계열 기준으로 4조8천억원 늘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월 협의통화인 M1(평균잔액 기준)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 오르는 데 그쳤다.

2008년 7월 1.4% 이후 가장 낮다.

M2에 장기저축성예금 등을 더한 금융기관유동성(Lfㆍ평균잔액)은 2천302조2천65억원으로 1년 전보다 7.2% 증가했다.

Lf에 국채, 지방채, 회사채 등을 더한 광의유동성(Lㆍ월말 잔액)은 전년 같은 달보다 8.5% 상승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cla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