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기상정보를 활용하려고 하는 기업 수요는 충분합니다. 그러나 기업들이 만족할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게 문제입니다.” (박광준 기상산업진흥원장)

기상청은 2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기상·기후예측 정보의 산업적 활용 및 이익창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 자리엔 조석준 기상청장, 양수길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정부 주요 인사와 학계, 산업체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미국 최대 기상채널인 ‘웨더채널’ 부사장을 지낸 레이몬드 밴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과학자문이사회 의장도 참석했다.

이날 기조연설자로 나선 조 청장은 “미국 기상산업 시장은 연간 80억달러(9조원)에 달하고, 이 중 민간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절반이 넘는 50억달러(5조6000억원)”라며 “그러나 한국의 전체 시장 규모는 1567억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연간 기상산업 시장 규모도 5조원으로, 한국의 30배에 달한다. 조 청장은 “기상산업시장 규모가 커지기 위해선 기업 등 민간 분야의 시장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박 원장도 “국내 민간기상산업은 장비 분야가 전체 매출의 55%를 차지하고 있다”며 “예보와 컨설팅 분야 매출은 각각 0.8%와 8%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설문대상 2250개 기업 중 지난해 기준으로 유료 기상정보를 활용하는 기업은 206개로, 9%에 불과했다. 반면 응답기업의 35%가 유료 기상정보를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박 원장은 “유료 기상정보를 이용하겠다는 기업 수요는 많지만 활용이 낮은 건 기상청이 무료로 제공하는 정보를 넘어서는 양질의 맞춤형 콘텐츠가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기상청 차원에서 기상기술 및 정보의 민간이전 추진이 시급하다”며 “이를 통해 기업들이 기상기술 개발에 대한 초기 비용 부담을 덜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상장비의 국산화율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박 원장은 “한국의 기상장비 기술 수준은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4.3년 뒤처져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지원과 다른 분야 관련 기술력과의 융복합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시장 확대를 위해선 민간 기업들의 자체 기술개발도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밴 이사장은 “한국의 민간 기상기업들도 정부의 지원만을 기대할 것이 아니라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등 다양한 성장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