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초·중등 교육과 관련된 대부분의 정보·통계를 원스톱(One-Stop)으로 보다 쉽게 정책과 학술연구에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학술목적일 경우 지역별·학교별 수능 성적 등 민감한 정보도 쉽게 접근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교육 정보·통계 자료를 통합한 교육정보통계시스템(EDS)을 16개 시·도교육청과 공동으로 개통한다고 1일 밝혔다. 이를 통해 초·중등 교육통계, 학교정보공시, 나이스, 에듀파인, 학업성취도, 수학능력시험, 특수교육통계 총 7개 분야의 820종 2만5750개 항목을 이용할 수 있다. 올 하반기에는 고등교육정보통계도 제공된다.

그동안 각 교육기관이 각자 작성하고 보관하던 통계자료들을 동일한 학교코드로 통합해 관리함에 따라 각 통계 간 연계분석이 가능해졌다. 또 교육정책과 학술연구 등의 통합·분석 편의성을 높여 공무원과 교원이 통계자료 작성에 들이는 업무량을 대폭 줄이게 됐다.

외부 연구자는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이 4월 말 이후 개정되면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이들 정보·통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학교별 수능 성적 등 민감한 자료는 연구 목적 이외 사용 금지 서약 등 보안조치 이후 제공된다.

교과부 관계자는 “대부분 통계 정보를 한자리에 모아 교원·공무원의 통계·행정자료 작성을 위한 업무를 대폭 줄이게 됐다”고 말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