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흐르는 아침]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QR코드 찍으면 선율과 함께 동영상이 뜹니다
봄이 참 더디게 오고 있다. 원시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느꼈을까. 겨울이 될 때마다 과연 다음에도 봄이 올지, 봄이 왔나 싶다가 추워지면 다시 겨울로 돌아가는 것은 아닌지 두려움을 느꼈을 것이다. 그래서 대지에 싹이 트는 봄이 되면 제사를 지내며 땅과 하늘에 감사를 드렸으리라.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1913)은 고대 러시아의 봄맞이 제사의식을 그린 것이다. 작곡가 자신에게 떠오른 음산한 환상을 음악으로 옮긴 것인데, 발레 음악으로 작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원시적 리듬과 강렬한 음색은 시대를 앞서간다던 파리 관객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게다가 니진스키의 안무도 이전의 발레와는 전혀 다른 기괴한 것이었다. 공연 역사상 가장 유명한 스캔들이었던 당시 관객들의 난동은 얀 쿠넹의 영화 ‘샤넬과 스트라빈스키’에 사실적으로 묘사돼 있다.
혁신적인 작품의 가치는 당대에는 평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도도한 시대 조류는 결국 걸작을 알아보는 법이다.
▶QR코드 찍으면 선율과 함께 동영상이 뜹니다
유형종 < 음악·무용칼럼니스트, 무지크바움 대표 >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1913)은 고대 러시아의 봄맞이 제사의식을 그린 것이다. 작곡가 자신에게 떠오른 음산한 환상을 음악으로 옮긴 것인데, 발레 음악으로 작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원시적 리듬과 강렬한 음색은 시대를 앞서간다던 파리 관객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게다가 니진스키의 안무도 이전의 발레와는 전혀 다른 기괴한 것이었다. 공연 역사상 가장 유명한 스캔들이었던 당시 관객들의 난동은 얀 쿠넹의 영화 ‘샤넬과 스트라빈스키’에 사실적으로 묘사돼 있다.
혁신적인 작품의 가치는 당대에는 평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도도한 시대 조류는 결국 걸작을 알아보는 법이다.
▶QR코드 찍으면 선율과 함께 동영상이 뜹니다
유형종 < 음악·무용칼럼니스트, 무지크바움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