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세, 3大 금융악재 철저 관리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사진)은 △자영업자 가계부채 △다중채무자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을 우리 경제와 금융회사 건전성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3대 악재로 보고 철저하게 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권 원장은 취임 1년을 맞아 26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3대 악재가 금융회사 건전성 관리의 아킬레스건이 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자영업자들이 사업자 대출을 받을 수 있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과 다중채무자의 빚이 최근 2금융권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 원장은 “2003년 신용불량자 문제를 처리할 때도 가장 어려운 숙제가 다중채무자였다”며 “다중채무자 문제는 결국 부동산 가격과 연결돼 있는 만큼 3가지 악재를 복합적으로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은행들이 대출을 억제하는 과정에서 금리가 상승하고 있다는 지적과 관련, 권 원장은 은행 지점장의 전결금리 결정 과정이 합리적이고 투명하게 이뤄지는지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가계대출 규제가 이뤄지면서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워지고 있다”며 “은행들이 대출을 늘리기 위해 운영하던 지점장 우대금리를 없애는 과정에서 금리가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권 원장은 지난해 7월부터 금감원이 중점 추진해온 금리·수수료 체계 개선으로 연간 1조원이 넘는 소비자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고 말한 바 있다. 업권별로 은행 고객이 5400억원으로 가장 많고 보험 3700억원, 신용카드 200억원, 증권 고객이 1000억원 정도 혜택을 볼 것이라는 설명이다. 금감원의 최근 현장 점검 결과 금리·수수료 관련 44개 개선 과제 가운데 38개는 계획대로 시장에서 시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수수료 체계 개선을 위한 보완대책으로는 은행의 창구 송금수수료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타행 송금의 경우 인터넷뱅킹 수수료는 500원 수준이지만 창구를 이용하면 10만원 이하 600~3000원, 10만원 초과는 1000~4000원을 수수료로 내야 한다.

권 원장은 “인터넷뱅킹 등 온라인 거래를 이용하지 못하고 주로 창구 거래에 의존하고 있는 65세 이상 고령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창구 송금수수료를 우선 면제하거나 할인 혜택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류시훈/장창민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