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그래도 대안은 원전뿐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후쿠시마 원전사고 1년이 다가온 가운데 어제 서울에서 열린 ‘2012 에너지 미래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그래도 현실적 대안은 원전뿐이라고 강조했다.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IAEA 전 사무총장, 기네스 크레이븐스 과학환경 저널리스트 등 외국 참석자들도 다를 바 없었다. 실제로 미국은 스리마일섬 사고 이후 약 30년 만에 처음으로 신규 원전건설을 승인했고, 중국도 최근 원전건설을 재개했다. 그런데도 국내 반핵·환경단체들은 후쿠시마 1주년, 핵안보정상회의 등을 계기로 반원전 시위를 고조시키려고 그야말로 혈안이다. 여기에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 등 야당도 가세하고 있다.
별다른 문제없이 가동되고 있는 원전을 중단시키고 신규원전 건설을 백지화하라는 반핵·환경단체와 야당의 주장은 원전 폐기 요구와 다름없다. 이들은 일본이 탈원전 정책을 채택했고, 독일도 그쪽으로 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산업계는 그 가능성에 의문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 대안이 있을 수 없다. 독일 역시 아직은 정치 수사적 선언일 뿐이라고 보는 게 맞다. 원전 반대론자들은 후쿠시마 사태 이후 지금도 14개국에서 64개 원전이 건설 중이라는 사실은 아예 언급조차 않는다.
원전 반대론자들은 신재생에너지가 대안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기술발전 속도나 공급량 측면에서 예측하기 힘든 게 신재생에너지다. 더구나 경제성이 낮아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정부 지출이 줄어들면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에서 거품이 꺼지는 것도 당연한 현상이다. 신재생에너지보다 원전이 더 현실적이라고 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사정이 그런데도 반핵·환경단체와 일부 정치권은 무조건 원전 반대로 정치 싸움을 몰아가고 있다. 후쿠시마 사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을 일반화시켜 국민들에게 온갖 공포감을 극대화시키는 것도 이들이다. 그 여세를 몰아 삼척 영덕 등 신규 원전 후보지도 무산시키고, 가동 중인 원전도 차례로 중단시키겠다는 게 이들의 의도임은 물론이다. 근거 없는 반원전 운동이 국가 안보와 경제, 국민생활과 직결된 에너지 정책을 좌우하도록 내버려 두어서는 안된다. 정부가 중심을 잡아야 할 때다.
별다른 문제없이 가동되고 있는 원전을 중단시키고 신규원전 건설을 백지화하라는 반핵·환경단체와 야당의 주장은 원전 폐기 요구와 다름없다. 이들은 일본이 탈원전 정책을 채택했고, 독일도 그쪽으로 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산업계는 그 가능성에 의문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 대안이 있을 수 없다. 독일 역시 아직은 정치 수사적 선언일 뿐이라고 보는 게 맞다. 원전 반대론자들은 후쿠시마 사태 이후 지금도 14개국에서 64개 원전이 건설 중이라는 사실은 아예 언급조차 않는다.
원전 반대론자들은 신재생에너지가 대안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기술발전 속도나 공급량 측면에서 예측하기 힘든 게 신재생에너지다. 더구나 경제성이 낮아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정부 지출이 줄어들면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에서 거품이 꺼지는 것도 당연한 현상이다. 신재생에너지보다 원전이 더 현실적이라고 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사정이 그런데도 반핵·환경단체와 일부 정치권은 무조건 원전 반대로 정치 싸움을 몰아가고 있다. 후쿠시마 사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을 일반화시켜 국민들에게 온갖 공포감을 극대화시키는 것도 이들이다. 그 여세를 몰아 삼척 영덕 등 신규 원전 후보지도 무산시키고, 가동 중인 원전도 차례로 중단시키겠다는 게 이들의 의도임은 물론이다. 근거 없는 반원전 운동이 국가 안보와 경제, 국민생활과 직결된 에너지 정책을 좌우하도록 내버려 두어서는 안된다. 정부가 중심을 잡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