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헤지펀드ㆍ캐리자금 '랑데뷰'…유동성 장세 기대
요즘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오랜만에 헤지펀드와 캐리자금 간 ‘랑데부(rendezvous·만남)’ 현상이 재현되고 있다. 이 때문에 주가가 오르고 유동성 장세에 대한 기대가 한층 부풀고 있다.

헤지펀드란 1949년 미국인 알프레드 존슨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일종의 사모펀드다. 대체로 100명 미만의 소수 투자자로부터 개별적으로 자금을 모아 파트너십을 결성한 뒤 조세회피(tax haven) 지역에 거점을 마련해 활동한다. 외환위기를 겪었던 우리 국민에게는 헤지펀드의 부정적인 측면만 알려졌지만, 이론적으로는 순기능도 만만치 않은 양면성을 갖고 있다.

대부분 헤지펀드는 활동 거점으로 조세회피 지역을 선택한다. 조세회피 지역은 법인이윤과 개인소득에 대한 원천과세가 전혀 없거나 과세 시에는 아주 저율의 세금만을 부과하는 지역을 말한다. 면세 대상과 정도에 따라 △조세천국(tax paradise) △조세은신(tax shelter) △조세특혜(tax resort) 지역으로 구분된다.

그중 헤지펀드가 활동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가 조세천국 지역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헤지펀드의 약 80%가 이 지역에서 활동해 왔다. 세계 3대 조세회피지역으로 카리브해 연안과 아일랜드, 말레이시아 북동부가 유명했으나 최근에는 헤지펀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상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추세다.

4년 전 금융위기 이후 위축됐던 헤지펀드 활동이 재개되고 있다. 헤지펀드 전문 자문업체인 헤네시그룹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활동하는 헤지펀드 수는 다시 1만개 이상으로 늘어났고, 투자원금 규모도 1조200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헤지펀드의 활동력을 나타내는 레버리지(leverage·투자원금 대비 총투자금액) 비율도 5배 수준으로 회복됐다.

캐리 트레이드는 브로커가 차입한 자금으로 주식과 같은 유가증권 투자를 늘리는 행위를 말한다. 이때 투자한 유가증권 수익률이 차입금리보다 높을 경우 ‘포지티브 캐리(positive carry)’, 반대의 경우를 ‘네거티브 캐리(negative carry)’라고 한다. 또 차입한 통화에 따라 엔캐리와 달러캐리, 유로캐리 트레이드로 구별된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헤지펀드ㆍ캐리자금 '랑데뷰'…유동성 장세 기대
캐리 트레이드의 이론적 근거는 통화가치를 감안한 국제 간 ‘자금이동설(m=rd-(re+e), m=자금유입 규모, rd=투자대상국 수익률, re=차입국 금리, e=환율변동분)’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투자 대상국의 수익률이 통화가치를 감안한 차입국 금리보다 높을 경우 차입국 통화로 표시된 자금을 일으켜 투자 대상국의 유가증권에 투자하게 된다. 투자 대상국과 자금차입국 간 금리차익과 환차익을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캐리자금은 엔캐리 트레이드를 주도하는 ‘와타나베 부인(일본 주부 투자자)’이 주도해 왔다. 당시 일본은 장기간 경기침체와 선진국 간 달러가치 부양을 위한 ‘역(逆)플라자 합의’ 이후 ‘제로’ 수준에 가까운 금리와 엔화 약세를 배경으로 엔캐리 트레이드를 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됐기 때문이다.

2001년 이후에는 달러캐리 트레이드를 주도하는 ‘스미스 부인’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미국의 금리 인하를 계기로 달러 가치가 약세를 보임에 따라 미국계 자금의 차입금리가 저렴한 시대가 도래했기 때문이다. 특히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달러캐리 트레이드가 급증했다.

올 들어서는 유로캐리 트레이드를 주도하는 ‘소피아 부인’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취임 이후 금리도 내리고 양적완화와 장기대출프로그램(LTRO)을 동시에 추진하면서 유로캐리 트레이드를 위한 최상의 조건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유로캐리 자금은 한국 등 신흥국에 집중 유입되고 있다.

요즘처럼 헤지펀드와 캐리자금 간에 ‘랑데부’ 현상이 재현되는 것은 유동성이 풍부한 것이 원인이다. 하지만 단순히 유동성만 풍부해서도 안 된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으면 통화당국에서 유동성을 공급하더라도 퇴장되기 때문이다. 이런 각도에서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경기진단법으로 가장 각광받아온 복합선행지표(CLI·Composite Leading Indicators)가 지난해 12월 이후 고개를 든 점이 주목된다.

국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매달 발표하는 CLI지수는 성장순환(growth cycle)에서 전환점(turning point)에 대한 조기 신호를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경기순환(business cycle)에서는 국내총생산(GDP) 통계를 활용하지만 CLI지수는 GDP에 선행하는 산업생산지수(IIP)를 활용하는 것이 다르다. 이 때문에 CLI지수는 경기순환에 선행하는 성장순환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캐리 트레이드는 반드시 레버리지 투자와 결부된다는 점이다. 캐리자금이 유입될 때마다 레버리지로 자산 거품이 쉽게 발생하다가도 이탈될 경우 디레버리지(deleverage·투자원금 회수)까지 겹쳐 신용경색이 일어나고 투자국뿐 아니라 세계 경제를 불안하게 하는 만큼 투자자는 이 점을 경계해야 한다.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