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국제공항의 운영권이 민간기업에 매각됐다.

국토해양부는 청주국제공항 운영권을 30년간 민간에 양도하기 위한 매각절차를 완료하고 내달 1일 한국공항공사와 청주공항관리간 계약을 체결한다고 31일 발표했다.

정부는 공기업 선진화 계획에 따라 2009년 3월 청주국제공항을 운영권 매각 대상공항으로 선정했다. 2010년말부터는 본격적인 매각작업을 진행, 한국공항공사와 청주공항관리는 지난해 11월 운영권 매각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청주공항관리는 한국에이비에이션컨설팅그룹, 흥국생명보험, 미국과 캐나다의 공항 전문기업인 ADC&HAS가 주주로 참여해 설립한 회사다. 인수금액은 255억원이다.

청주공항관리는 공항운영증명 취득 등 인수 절차를 거쳐 빠르면 올해 말부터 청주공항을 운영한다. 운영권 매각 이후에도 공항 시설의 소유권은 현재와 같이 국가와 한국공항공사가 보유한다.

이에 따라 활주로, 계류장, 터미널 등 청주국제공항의 주요 시설들은 정부가 수요변화에 따라 시설을 확충하고, 민간운영자는 상업시설과 지원시설의 설치를 담당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청주국제공항 운영권 매각계약은 만성적자인 지방공항의 운영을 보다 효율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국내 최초로 공항에 민간 경영이 도입된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부수정 기자 oas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