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동원선거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국민참여경선을 실시하고 모바일 투표를 도입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정개특위 여야 간사인 한나라당 주성영, 민주당 박기춘 의원은 25일 국회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모바일 투표는 국회의원 후보자를 선출하는 당내 경선 과정에서 유권자들이 휴대전화를 이용해 지지 후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지난 1ㆍ15 전당대회에서 모바일 투표를 도입해 흥행에 성공한 민주당은 조직과 금권을 동원한 정치를 추방하는 차원에서 모바일 투표를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한나라당은 공정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모바일 투표에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이날 양당 간사가 모바일 투표에 원칙적으로 합의함에 따라 민주당은 26일 오전 구체적인 방안을 담고 있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제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제출하는 개정안을 놓고 내부 입장을 정리한 뒤 민주당과 다시 협상에 들어가기로 했다.

주성영 의원은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큰 틀에서 모바일 투표로 가야 한다는 데 합의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고, 박기춘 의원은 "모바일 투표 도입에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양당이 모바일 투표 도입 시기를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어 합의안 도출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민주당은 오는 4월 실시되는 19대 총선에서부터 모바일 투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한나라당은 여론조사를 이용한 개방형 국민참여경선으로 80%, 전략공천으로 20%를 선출하는 내용의 공천개혁안을 마련한 만큼 19대 총선 도입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정개특위는 전당대회에서 중앙당이 관광버스 비용이나 식비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은 국민 여론이 좋지 않다는 점을 들어 보류하기로 했다.

또 26일에는 공직선거법 소위원회를 열어 석패율제(지역구결합 비례대표제), 국민참여경선 도입, 선거구 획정 등의 핵심 현안을 논의한다.

이어 27일 정치자금법 소위원회, 30일 공직선거법 소위원회를 열어 논의를 마무리하고 31일 전체회의에서 최종안을 의결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이한승 기자 jesus786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