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치러지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대표의 정책 수혜 섹터로 꼽히는 일자리·저출산주(株)가 강세다. 특히 에르코스의 경우 이날 회사 대표 명의로 해명 공시까지 냈음에도 장중 상한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8일 오전 9시41분 현재 코스닥시장에서 에르코스는 전날 대비 가격제한폭(30%)까지 뛴 1만98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까지 3거래일 연속 상한가다.주가는 지난달 28일부터 이날(상한가 기준)까지 8거래일 동안 무려 206%가량 폭등했다.2014년 설립된 에르코스는 영유아식품 사업을 시작으로 대체식품·고려인화식품 등으로 영역을 확장 중인 식품기업이다. 민생 관련 대표적 공약 중 하나인 저출산 대책이 실현될 경우 영유아 식품, 용품 관련주들이 수혜를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최근 관련주가 급등세다.이와 관련해 회사가 "특정 정치인과 무관하다"고 일축했지만 투기성 자금은 계속 몰려드는 모양새다.이날 김슬기 에르코스 대표는 조회공시 답변을 통해 "현저한 시황변동과 관련해 회사로서는 별도로 공시할 중요한 정보가 없단 점을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한국거래소가 주가의 현저한 시황변동에 대한 조회공시를 요구한 데 따른 답변이다.김 대표는 공시를 통해 "최근 우리 회사 주식이 특정 정치인의 테마주로 거론되고 있지만, (해당 인물은) 과거와 현재 자사의 사업내용과 관련이 없다"고 전했다.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전체 인터뷰 영상은 유튜브 채널 <한경 글로벌마켓>에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최근 미국 주식시장은 상당한 변동성을 겪고 있습니다. 원인이 무엇이라고 보십니까?미국 주식시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훌륭한 성과를 거뒀습니다. 일단 오랜 기간 강력한 성과를 냈던 자산군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해야합니다. 물론 올들어 미국 주식시장 변동성이 더 커진 것은 사실입니다. 시장은 올해 남은 기간과 중기적 전망 역시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클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는 듯 합니다. 미국 시장의 변동성 원인을 질문하셨는데 저는 두 가지 요인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첫 번째는 미국 주식시장이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소수 기업에 편중되어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인공지능(AI) 테마로 인해 여러 기술주가 크게 올랐습니다. AI 테마에 대한 기대는 이미 주가에 충분히 반영된 상태이며 아시아에서 더 낮은 비용으로 개발한 기술이 등장하면서 일부 기업의 수요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하고 있죠. 우리는 AI를 장기적인 성장 테마로 보고 있습니다. 제가 경영하는 글로벌 자산운용사 TCW는 이미 10년 전부터 AI에 투자해 오고 있습니다. AI 테마는 이제 겨우 시작 단계이고, 향후 몇십 년간 지속될 테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실제 AI의 수요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단기적으로는 부진한 성과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있었던 미국 주식시장의 부진은 대부분 기술주나 소비재 관련 기업 주가가 하락하면서 발생햇습니다. 다른 부문에서는 긍정적인 성과를 낸 곳도 있습니다. 현
하나증권은 다음달 말까지 개인연금저축계좌로 타겟데이트펀드(TDF)를 순매수한 금액에 따라 경품을 주는 ‘모여라 연금저축 TDF’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삼성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하나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 KB자산운용 등 5개 운용사의 대상 TDF를 순매수한 금액이 1만원 이상인 선착순 1000명에겐 커피쿠폰이, 순매수 금액 100만원 이상인 고객에겐 구간별로 최대 5만원 상당의 모바일 상품권이 각각 증정된다. 순매수 금액 500만원 이상인 고객 중 추첨에서 당첨된 5명은 하나증권에서 펀드와 ETF를 매수할 수 있는 하나증권 금융투자상품권을 추가로 받는다.상품 가입은 하나증권 개인연금저축계좌를 가지고 있는 손님이 영업점에 방문해 신청하거나 하나증권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다.남택민 하나증권 PWM본부장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연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하나증권은 손님의 안정적인 노후 수익 확보를 위해 개인연금투자상품에 대한 손님 서비스를 강화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