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시에 사는 회사원 정모씨(39)는 월급날에도 걱정이 앞선다. 두 아이 보육비와 아파트 대출이자, 신용카드 사용액을 갚고 나면 월급통장에 남는 돈이 거의 없다. 펑크나지 않을까 두려울 때가 많다. 월급은 오르지 않는데 물가만 뛰는 것도 부담이다.

◆중산층 “불행하다”

'경제적 행복'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행복감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경제신문과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해 11월 말부터 12월 중순까지 전국 20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경제행복지수는 37.8로 2008년 하반기(33.6) 이후 가장 낮았다.

직전 조사인 지난해 상반기(39.4) 때보다는 1.6포인트 떨어졌다. 유럽 재정위기 확산과 내수 부진 등으로 소득 감소, 가계빚 증가, 고물가의 3중고가 겹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령, 직업, 소득에 상관없이 거의 전 계층에서 경제 행복감이 낮아졌다. 연령별로는 50대를 제외한 모든 계층의 행복지수가 하락했다. 특히 30대(43.6→41.3)의 하락폭이 가장 컸다. 50대(34.2→34.3)도 개선폭은 미미했다.

직장인과 자영업자는 물론 ‘안정된 직장’인 공무원의 경제행복도 큰 폭(48.4→44.9)으로 떨어졌다. 소득별로는 중산층에 속하는 연봉 6000만~8000만원 소득층(55.4→48.9)의 행복지수 하락이 두드러졌다. 2000만원 미만 소득층의 행복지수는 30이 채 안 됐다.

성별로는 여성(39.3)이 남성(36.2)보다 행복하다고 답했지만 남녀 모두 직전 조사 때보다 덜 행복했다. 지역별로는 16개 시·도 중 서울 대구 인천 대전 전북을 제외한 11개 시·도의 행복지수가 떨어졌다. ‘경제적으로 가장 행복한 사람’은 서울에 사는 대졸 이상, 전문직 미혼 20대 여성으로 추정됐다.

◆최우선 정책과제는 일자리

응답자의 87.2%는 ‘수출과 고용지표 호조로 경기 회복을 체감하느냐’는 질문에 고개를 내저었다. 경기 회복을 느끼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소득 감소(33.8%), 가계빚 증가(28.3%), 일자리 감소(20.4%)였다. 체감경기 회복 시점에 대해서는 79.5%가 ‘2013년 이후’를 예상했다.

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를 묻는 질문에는 41.4%가 ‘신규 일자리 창출’을 첫 손가락에 꼽았다. 31.1%는 ‘복지 혜택 강화’를 제시했다.

올해 총선과 대선에서 투표할 기준으로 ‘성장 우선’을 택한 응답이 53.3%로 ‘복지 강화(46.7%)’보다 많았다. 경제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동반성장(33.9%), 기업의 투자 확대(27.6%), 노사관계 안정화(18.3%)를 꼽은 응답자가 많았다.

어떤 복지를 원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32.1%가 ‘일자리 복지’를 제시했다. 영·유아 복지(21.7%)와 대학 등록금 지원(17.0%)이 뒤를 이었다. 복지 강화를 위해 세금을 더 낼 용의가 있다는 응답이 56.4%였다. 85.3%가 소득의 최대 5%를 세금으로 더 낼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조호정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체감물가 관리가 시급하다는 게 이번 조사의 시사점”이라며 “가계부채 연착륙과 복지 지출 및 세금 부담을 연계시키는 방안도 도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경제행복지수

경제적 안정·우위·발전·평등·불안 등 5개 하위 지수와 ‘전반적 행복감’을 종합해 산출한다. 기준치는 50이다. 100에 가까울수록 행복하고 0에 가까울수록 불행하다. 한국경제신문과 현대경제연구원은 2007년 하반기부터 매년 두 차례 경제활동 중인 전국 20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경제행복지수를 조사하고 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