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로 지새울 한 해다. 지극히 불투명하다. 갈등의 폭발은 개연성이 아니라 기정사실이다. 대통령 선거도 이미 시작됐다. 올해는 태평성대가 아니다. 우선 한반도 정치 지형부터가 분단 이후 가장 심각하다. 북한은 김정일 사망으로 20대 애송이에게 정권을 넘기고 있다. 준비는 안돼 있는데 북쪽의 둑은 언제 터져버릴지 모르는 상황이다. 핵을 움켜쥔 채 문을 닫아 건 북한에 미래가 있을 수 없다. 독재 3대 세습은 시대착오적이요, 가능하지도 않다.

통일은 도둑 같이 온다. 철저히 준비하고 대비하자. 독일 학자들이 말하듯, 통독은 조용하고 철저한 준비가 만들어낸 역사적 우연이었을 뿐이다. 새 대통령은 무엇보다 통일에 대해 확고한 원칙을 가져야 한다. 그 원칙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보편적 가치에 기반한 것이다. 종북주의가 판을 치고, 김정일을 조문하지 못해 안달이 난 현실은 정부의 무원칙에서 비롯됐다. 함부로 퍼주거나, 무턱대고 대화를 끊는다고 북한이 바뀌지는 않는다. 국민들도 통일의 기본원칙을 들어본 적이 없다. 모든 이들을 하나의 통일 이데올로기로 묶어낼 수 있는 비전이 필요하다.

국내 정책도 마찬가지다. 복지는 필요하지만 자기책임의 원칙, 시장과의 조화라는 기본 원칙이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 인민주의적 포퓰리즘에는 단호하게 맞설 지도자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국민은 그렇게 바보가 아니다. 국민에 대한 굳건한 신뢰가 있는 지도자라면 능히 싸구려 복지 열풍을 막아낼 수도 있다. 그런 대통령을 뽑는 데 국민들도 두 눈을 부릅떠야 한다.

자본주의 4.0이니, 공생발전이니 하는 것들은 시장경제의 기본철학이 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정치라는 우물에 풀어놓은 마약에 불과하다. 지금 그 원칙에 직면하기를 모두가 두려워하고 있다. 그러나 진실에 직면해야 살 길이 열린다. 시장경제 원리만이 가장 공정한 경쟁 체제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국민도 핑계를 대지 않는다. 포퓰리즘의 광풍이 불고 있지만 그것을 이겨내야 나라가 버틸 수 있다. 국민 모두의 역량이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