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동안 국내 정보기술(IT) 서비스 시장의 성장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기존 대형 IT서비스 업체들의 공공시장 진입을 금지하기로 했다. 이로 인해 그룹 관련 일이나 정부 발주 사업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IT 서비스 업체들은 해외시장 공략 등 변화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지난달 27일 지식경제부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공생발전형 소프트웨어 생태계 구축 전략'을 발표했다. 총 55개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소속 IT 서비스 업체들이 공공시장에 신규 참여하는 것을 전면 제한하는 내용이 골자다. 내년 초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을 개정해 별도의 유예기간 없이 즉각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법이 개정되기 전까지 현행 고시를 개정해 대기업의 공공 프로젝트 참여 제한 금액을 상향 조정키로 했다. 현재는 매출 8000억원 이상 기업은 40억원,매출 8000억원 미만 기업은 20억원을 넘지 않는 공공기관 발주 사업에 참여할 수 없다. 고시 개정에 따라 참여 제한 금액은 각각 80억원,40억원으로 올라간다. 공공부문에서 발주되는 사업 금액은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을 합해 연간 2조5000억~3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지경부 관계자는 이 같은 정책에 대해 "대기업들이 공공시장에서 저가로 일감을 수주해 하청업체들의 공급단가를 후려치는 행태를 근절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공시장 매출이 사라질 것이 확실시되면서 업체들은 신성장 동력 발굴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해외 진출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게 됐다. 한 대형 IT 서비스 업체 임원은 "국내시장 매출이 줄어들 만큼 앞으로 해외시장 진출에 더 공격적으로 나설 것"이라면서도 "국내 공공부문 실적이 있어야 해외에서 일감을 얻어내기 쉬운 것이 사실"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