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드베데프 "가스관 北 통과 위험 러가 책임"
러시아 천연가스를 수입하기 위한 북한 경유 남 · 북 · 러 가스관 건설을 놓고 한국과 러시아가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시베리아산(産) 가스를 한국에 팔아야 하는 러시아는 가스관을 조기 건설하자는 입장인 반면 한국은 조건을 봐가며 추진하자는 느긋한 입장이다. 가스 가격과 가스관 건설 조건 협상을 앞둔 샅바 싸움이 시작된 것이다.

남 · 북 · 러 가스관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러시아 국영가스회사 가즈프롬의 니콜라이 두빅 법무실 실장은 1일(현지시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한 · 러 대화(KRD)' 포럼에 참석,"남 · 북 · 러 가스관을 2013년 착공해 2017년부터 가스 공급을 시작하는 로드맵(일정)에 대해 한국의 가스공사와 지난 9월 합의했다"고 밝혔다. KRD는 양국 정상의 합의에 따라 지난해 출범한 한국과 러시아 간 민 · 관 산학협의체다.

두빅 실장은 한 · 러 양측이 올 10월부터 내년 1월까지 남 · 북 · 러 가스관과 한국에 대한 가스 공급 조건에 대한 상업적 협상을 마친 뒤 내년 1~4월 사이에 가스 공급 협정을 맺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9월 가스공사와 가즈프롬이 합의한 로드맵은 법적 구속력이 전혀 없다"며 "앞으로 러시아 측이 제시할 가스관 건설 조건과 가스 판매 가격 등에 대한 협상에 따라 가스관 건설 일정은 늦춰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남 · 북 · 러 가스관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3국 모두에 경제적 이익을 줄 것이라는 데 공감하고,이의 실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북한의 두 차례 도발로 북한을 통과하는 가스관의 안전성에 대한 걱정이 많은 것도 사실"이라며 "핵문제 등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러시아 측의 노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가스관의 북한 통과에 따른 위험은 전적으로 러시아가 책임지겠다"며 "북한이 가스관 사업에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했다"고 화답했다.

두 정상은 이와 함께 (가스관 안전문제 등이) 해결된다는 조건으로 러시아 극동지역의 잉여전력을 북한을 경유해 한국에 공급하는 사업도 검토 가능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