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계절 착용 가능ㆍ위장효과 증대

디지털무늬의 차세대 신형 전투복이 오는 10월부터 순차적으로 전 군에 보급된다.

국방부는 분야별 민간 전문가와 공동 개발한 4계절용 첨단 고기능성 섬유소재로 제작한 신형 전투복을 국군의 날을 맞아 보급한다고 29일 밝혔다.

새 전투복은 흙ㆍ침엽수ㆍ수풀ㆍ나무줄기ㆍ목탄색 등 화강암 무늬의 디지털 5도색으로 만들어 위장 효과를 높였다.

한반도 지형과 기후 특성을 고려한 디지털 무늬로 제작해 정밀 관측장비를 피할 수 있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1990년에 도입된 기존 전투복은 위장효과가 떨어지고 면ㆍ폴리에스터 혼방소재로 제작돼 기능성과 활동성이 부족했다.

새 전투복은 면ㆍ폴리에스터 혼방 기능성 소재로 만들어져 땀을 빨리 흡수하고 빨리 건조할 수 있도록 했으며 4계절 착용이 가능하다.

신축성이 좋고 구김이 잘 가지 않아 따로 다림질할 필요가 없다.

장병의 착용감과 전투 활동성도 향상됐다.

연구진은 3차원 정밀 인체스캐너를 이용해 장병 324명의 체형을 분석하고 사격ㆍ수류탄 투척ㆍ총검술 등 17가지 자세 및 동작의 3차원 전투 동작에 대한 분석작업을 거쳤다.

상의 앞 여밈 방법은 단추에서 지퍼ㆍ접착포로 바뀌었고, 상의 셔츠형 칼라도 세울 수 있는 변형칼라로 변경했다.

상의를 하의 안으로 넣어 입던 방식도 하의 밖으로 내어 입는 방식으로 달라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과거에는 군복에 몸을 맞춘다는 말이 있었지만, 장병 체형에 맞는 맞춤복 수준의 옷이 보급될 수 있도록 상의 44개, 하의 40개로 치수를 세분화했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지식경제부와 공동으로 민간 섬유기술을 이용해 전투복의 소재와 디자인을 매년 개선해나갈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noma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