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사 상위 40개 중 11곳이 종합편성채널 등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십자 유한양행은 모든 종편에 수십억원씩 투자했고,일동제약 종근당 등도 한 곳 이상에 투자했다. 그동안 종편이 왜 광고 직거래를 고집해 왔는지, 방통위는 왜 기를 쓰고 의약품 광고확대 정책을 펴는지 이제야 의문이 풀린다. 정부는 광고규제를 풀어 국민들 주머니와 건보재정을 털어서라도 종편을 지원하겠다고 화답하고 있는 꼴이다.

제약회사들이 처음부터 종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나섰을리는 만무하다. 광고순위 50대 기업 가운데 네 곳이 제약사라지만 여전히 소규모다. 국내 제약사들의 매출액을 다 합쳐봐야 글로벌 제약회사 한 곳의 연구개발투자비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고, 정부의 약가 인하조치 등으로 당장 내년도 매출실적조차 장담할 수 없게 된 것이 지금의 제약회사들이다. 이런 회사들이 이미 포화상태에 달한 광고시장에서 사업성도 불투명한 종편에 굳이 참여하겠다고 덤벼들 이유가 없는 것이다. 결국 종편사업자들이 이들에게 출자를 강요하고 대신 의약품 광고규제 완화 등을 미끼로 던지는 식의 온갖 검은 뒷거래가 판을 쳤을 것이라는 심증이 굳어지는 이유다.

이렇게 되면 그토록 논란이 많았던 전문의약품의 일반의약품 전환 등 의약품 재분류도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그 진의를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 전문약이 일반약으로 전환되면 광고가 가능하다. 이런 목적으로 방송광고 금지품목을 하나씩 완화하기 시작하면 온갖 형태의 과장광고나 간접광고가 기승을 부릴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소비자 편의나 후생 등은 허울좋은 구실에 불과할 뿐 불필요한 의약 과소비를 부추겨 그 부담을 국민에게 전가하고 이익은 종편이 챙긴다는 얘기밖에 안된다. 제약회사만은 아닐 것이다. 부실화된 저축은행의 종편 출자도 다 그렇고 그런 것이다. 더구나 출자를 가장한 사채 조달 등 편법적인 출자도 없었다고 장담하기 어렵다. 종편 선정과정에 대해 지금까지도 논란과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은 모두 이런 의혹들 때문이다. 그래서 더욱 궁금해지는 것이 종편의 주주명단이다. 무엇이 두려워 공개를 못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