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연 與경선 불참시' 통합논의 무위 그칠 수도

10ㆍ26 서울시장 보선에서 야권 후보통합에 맞서 한나라당 나경원 최고위원과 이석연 전 법제처장이 범여권 통합을 이끌어낼지 주목된다.

`안철수 돌풍'이 정국을 강타하면서 기존의 `당 대 당' 구도를 벗어나 `범여권 대 범야권' 구도가 새로운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다.

야권의 통합 움직임에 따른 범여권의 결집 시도인 셈이다.

그러나 18일 현재 범여권에서의 후보 통합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솔솔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후보 통합 방식을 둘러싼 나 최고위원 측과 이 전 법제처장 측의 극명한 입장차 때문이다.

한나라당이 외부인사에도 문호를 개방해 `열린 경선'을 치르자는 게 나 최고위원 측 입장인 반면, 이 전 법제처장 측은 야권의 방식과 유사한 `한나라당 후보와 범여권 후보' 단일화를 주장하고 있다.

나아가 나 최고위원이 후보 선출방식에 대해 "야당을 따라 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선을 긋자, 이 전 처장이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야권 후보통합 방식이 이미 국민ㆍ시민으로부터 공감과 지지를 얻고 있다"고 반박하는 등 양측의 신경전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양측의 팽팽한 대치 속에 당 지도부가 사실상 나 최고위원 측의 손을 들면서 범여권 통합 논의가 무산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김정권 사무총장은 전날 "한나라당 안에서 `범여권 후보'를 내야 한다"며 사실상 이 전 처장이 한나라당 경선에 뛰어들 것을 촉구했다.

한 핵심관계자도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전 처장을 영입하려는 것은 한나라당 후보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것이었다"며 "하지만 이 전 처장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그것으로 얘기는 끝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처장이 예상과 달리 `입당 불가' 방침을 고수함에 따라 당초 전략을 수정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동시에 `집권여당이 후보를 내지 않는 것은 난센스'라는 강한 당내 반발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핵심관계자는 "사실상 이석연 영입은 실패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도 했다.

따라서 이 전 처장이 `경선 전 입당 불가'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면 당 차원의 `범여권 후보 세우기'는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다만 이 전 처장이 한나라당과는 별개로 범여권 시민사회세력을 결집, 범여권 후보 단일화를 압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달 4일 한나라당 후보 확정 이후 한나라당과는 별개로 범여권 진영에서 후보 통합을 위한 다양한 움직임이 잇따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는 별개로 나 최고위원은 후보등록일인 22일께 보선 출마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당내 `대안부재론'이 확산되고 친박(친박근혜)계의 `비토론'이 가라앉은 만큼 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나 최고위원은 최종 결심에 앞서 18일 종교계 지도자 등 각계각층 인사들을 만나 의견을 수렴할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 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