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상에서 불특정 다수와의 관계를 강화시켜주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국내 SNS 이용자는 지난 5월 말 현재 총 1490만명에 달하고,스마트폰 사용자 1500만명 중 60% 이상이 SNS를 활용하고 있다고 한다. 친구 동료 지인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새로운 인맥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인적 네트워크를 확산시켜주는 SNS가 정치 과정에 대한 유권자의 참여를 극대화시키는 소통의 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SNS는 이미 IT업계의 판도를 바꿔놓았다. 1억75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트위터를 놓고 구글과 페이스북이 인수 경쟁을 벌이면서 트위터의 가치는 100억달러에 육박한다고 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로 스마트폰 시장을 양분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경쟁자로 떠오른 플랫폼 업체 구글은 7억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페이스북의 도전에 버거워하고 있다.

미국 성인 절반이 사용하는 SNS를 의식해 뉴욕 타임스는 자사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제보와 스토리를 모집하고,워싱턴 포스트는 기획부터 취재,기사 작성까지 SNS상에서 시민과 함께 진행하고 있으며,BBC는 소셜미디어 전담 에디터제를 도입했다. 국내에서도 독자 제보와 멀티미디어로서의 활용을 통해 개인미디어 시대로 가는 교두보를 만들어가면서 SNS가 미디어 환경의 격변을 이끌어가고 있다.

공직선거에서 그동안 규제 대상이던 SNS가 4 · 27 재 · 보선부터는 투표 독려 수단으로 무방하다는 선거관리위원회의 해석으로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는 선거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대의민주정치 시대 소통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2010년 말 기준으로 제18대 국회의원의 SNS 개설 현황을 보면 트위터 70%,블로그 54%,페이스북 21% 순이다. 주로 정보 제공,의견 수렴,네트워크 활용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치인의 관심에 비해 활용 면에서는 아직 공급자의 관점에서 SNS를 일종의 첨단기술로만 인식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팔로어(follower)'나 '친구' 숫자만 늘리는 지지자의 수적 확장보다는 홈페이지 블로그 등 기존 매체와 SNS 계정을 실시간으로 링크해 소통의 공간을 확대하는 것이 보다 스마트한 활용이 될 것이다.

최근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을 빗대 '무상급식 유상 단일화'라는 문구가 SNS에서 퍼져나갔고 '선의의 2억원을 제공했다'는 주장에 대한 패러디가 수없이 리트윗됐다고 한다.

주민투표가 실시되기 전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한 SNS 여론 분석에 따르면 부정적인 여론이 전체의 82%로 나타났다고 한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SNS를 통한 여론에 귀를 기울였다면 서울시장의 공백 사태나 재 · 보궐 선거는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 국민과 소통하고 여론을 수렴할 수 있는 대안적 매체로서의 SNS 역할에 대한 정당과 후보자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한 때다.

진영 < 국회의원 ychin21@na.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