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은 상선과 군함,해양플랜트 등을 만드는 국내 대표적인 조선해양 기업이다.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대형 컨테이너선 시장에서 최상위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해양플랜트 부문의 매출 비중을 빠르게 확대하면서 주가의 발목을 잡아온 실적변동성도 완화되는 추세다.

고부가가치 선박 위주의 수주 전략과 자원개발(E&P) · 풍력발전 시장에서의 선도적 지위는 하반기 주가 재평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자본잠식에 빠져 고전하던 루마니아 소재 망갈리아 조선소가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는 점도 매력으로 꼽힌다.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군 보유

대우조선해양은 올 들어 1만80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규모 컨테이너선 20척을 수주했다. 배 한 척의 길이가 400m,폭은 59m에 이른다. 갑판 면적은 축구장 4개를 합친 것과 맞먹는 크기다. 연료저감형 디자인 측면에서도 기념비적인 선박이다. 세계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AP몰러-머스크로부터 받은 이번 선박 주문은 초대형 컨테이너선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LNG 운반선 부문에서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카타르 국영 카타르가스와 라스가스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초대형 LNG선 52척을 발주했는데,대우조선해양은 이 가운데 가장 많은 26척을 수주해 LNG선 분야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과시했다. 지난 8월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부유식 LNG 저장 · 재기화 설비(LNG-FSRU)를 수주해 재차 'LNG 관련 설비의 최고봉은 대우조선해양'이라는 공식을 확인시켰다.

최근에는 캐나다 군함 도입(NSPS)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현지 업체와 공동으로 신규 법인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 신규 법인은 캐나다 현지법인 ULGA가 자금을 대고,대우조선해양은 기술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입찰이 성사될 경우 대규모 로열티를 받게 된다. NSPS는 캐나다 해군이 15척의 호위함 · 구축함과 6~8척의 쇄빙선 · 해안경비함 등을 건조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발주 규모는 350억달러에 이른다.

◆돋보이는 창의적 경영전략

대우조선해양은 단순 조선업체를 넘어 글로벌 선도 E&P 설비업체로 거듭나고 있다. 올해 초에는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업체와 부유식 LNG 원유생산저장시설(LNG-FPSO)에 대한 기본설계(FEED) 계약을 맺었다. 삼성중공업이 독점해온 LNG FPSO 시장에 첫 발을 내딛은 것이다.

이에 앞서 자회사인 대우조선해양E&R은 지난해 해외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파푸아뉴기니 LNG FPSO를 수주했다. 가스 액화사업에도 공동 운영권자로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단순 설비 제작업체를 뛰어넘어 개발자(developer)로 자리잡으려는 창의적 경영 전략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이번 LNG FPSO 시장 진입에 힘입어 대우조선해양의 LNG FPSO와 LNG선 수주는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세계적으로 가스전 개발이 활발해질 경우 추가 수혜로 이어질 전망이다. 육상 플랜트 시장에 진입하려는 전략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육상용 모듈 플랜트 시장으로 진입하기 위한 플랜트 설비업체 인수를 검토 중이다.

◆해상 풍력시장 우위 선점

대우조선해양은 2009년 인수한 풍력 발전기 원천기술보유 업체 드윈드(DeWind)를 통해 해외 풍력시장에 진출했다. 올 들어 풍력발전기 55기,총 1억3000만달러어치를 수주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풍력업계 신참인 국내 조선사들이 향후 해상 풍력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우선 육상 풍력시장에서 검증된 실적(track record)을 쌓아 나가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대우조선해양은 경쟁에서 이미 한 발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국내 주요 중공업회사와 조선사들이 앞다퉈 풍력시장에 진출했지만,대우조선해양만큼 활발하게 수주활동을 벌이고 있는 업체는 드물다. 자체 모델과 영업네트워크를 보유한 업체를 성공적으로 인수한 덕분이다. 성공적인 인수 · 합병(M&A)을 통해 경쟁력을 한층 업그레이드해 향후 펼쳐질 해상 풍력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복안이다.

◆하반기 수주 · 주가 전망 밝아

최근 증시 급락으로 대우조선해양 주가도 크게 하락했다. 이로 인해 주가자산비율(PBR)은 금융위기 수준인 1배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다. 실적 대비 주가(valuation) 저점은 확인한 것으로 판단돼 향후 수주 모멘텀과 실적 안정화로 인한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

대우조선해양은 올 들어 7월 말까지 80억달러의 수주 실적을 올렸다. 2011년 수주 목표액 110억달러의 73%를 이미 달성했다. 여기에 최근 조선업체들의 LNG선 수주 대열 합류를 감안할 때 무난히 수주 목표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수주한 선박들에 대한 옵션(발주처가 상황에 따라 추가로 발주할 수 있는 물량)도 많이 남아 있다.

매출에서 해양부문의 비중이 꾸준히 상승해 수익성 향상과 더불어 실적 변동성 축소 효과가 기대된다. 해양플랜트 매출 비중은 2008년 29%에서 2009년 35%,2010년 3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신규 수주에서 해양플랜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35%에서 2009년 46%,2010년 49%로 올라가다가 올 들어 7월 말 현재까지는 50%를 나타냈다. 앞으로도 해양플랜트가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해양플랜트는 건조기간이 상선보다 길고 수익성도 높아 향후 안정적으로 더 많은 수익을 올리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richard.park@truefrien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