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겪는 생리 상태에 변화가 오면 여성건강에 문제가 생겼음을 뜻한다. 그 중에서도 평소 없던 생리통이 생기거나 갑자기 생리통이 심해졌다면 자궁내막증이 의심되므로 즉시 검진을 받아야 한다.

자궁내막은 호르몬 주기에 따라 증식과 탈락을 반복하는 조직으로 생리를 통해 탈락된 내막조직이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자궁내막 조직이 원래 있어야 할 위치를 벗어나 난소, 나팔관, 장 등에서 증식하게 되면 생리를 통해 조직이 탈락되지 못하고 종양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자궁내막증이라 한다.

자궁내막증은 생리통, 성교통, 배뇨통 등을 유발하는데 통증은 단지 자궁내막증을 진단하는 기초가 될 뿐이며, 자궁내막증의 문제는 난소, 나팔관 등에서 증식한 내막조직 간에 유착으로 인해 불임과 유산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수술적 방법을 통해 난소나 자궁을 적출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무엇보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라 할 수 있다.

29세 여성 L씨는 20대 초반에 자궁내막증으로 인해 오른쪽 난소를 제거하는 수술을 해야만 했다. 심한 생리통을 방치하고 진통제를 복용하며 병을 키운 탓이었다. 그런데 지난 해 다시 생리통이 심해져 병원을 찾았더니 자궁내막증이 재발하여 반대쪽 난소에도 종양이 발생했다며 크기가 더 커지면 남은 난소마저 제거해야 한다는 설명을 들었다. 당시 결혼을 앞두고 있던 L씨는 도저히 수술을 할 수는 없어 이리저리 알아보다 한방치료를 받게 되었다. 다행히 치료 3개월 후 종양이 치료되었고 올해는 임신도 하게 됐다.

L씨의 경우처럼 자궁내막증은 재발이 잦은 질환이기 때문에 임신 전이거나 미혼여성에게는 더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수술을 한 뒤에도 생리를 하게 되면 다시 재발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양방에서는 호르몬제를 투여하거나 피임약을 복용할 것을 권하기도 한다.

그러나 자궁내막증으로 인한 종양의 크기가 급격히 자란다거나 출혈이 심한 경우가 아니라면 한방치료를 통해 자궁내막증의 근본원인을 치료하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성전문한방네트워크 인애한의원 관악점 이현주 원장은 “수술은 자궁의 입장에서 매우 큰 충격이 된다. 수술을 통해 당장의 종양은 해결할 수 있지만 재발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자궁에 수술의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더구나 아직 임신을 하지 않았거나 미혼여성이라면 수술적 방법은 최대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한방에서는 자궁내막증의 원인을 기운이 울체되어 생긴 어혈로 인한 것으로 보고 치료한다. 자궁 내의 혈류 순환을 도와주어 자궁내막증을 억제하고 정상적인 생리 배출을 돕게 되며, 종양으로의 영양공급을 중단하여 더 이상 조직이 커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자궁에 직접 약효를 전달하여 종양을 녹여내는데 효과적인 한방 좌약 조경단 치료를 병행하게 된다.

자궁내막증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궁건강을 유지하는 생활습관을 기르는 것도 중요하다. 생리기간에는 스트레스와 과로를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으며 하복부는 항상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꽉 끼는 하의는 자궁의 혈액순환을 방해하므로 피하고, 복부 비만 역시 자궁의 기혈순환을 방해하므로 적당한 운동으로 체중과 체지방 관리를 하도록 한다.

이 밖에도 자궁을 따뜻하게 하는 좌훈요법을 병행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한경닷컴 이미나 기자 helper@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