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출제단 격려금 횡령..학원강사도 임용시험 출제위원 포함

지난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제기된 `불량 수능 샤프' 논란은 수능 출제ㆍ관리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값싼 중국산 제품을 구매했기 때문인 것으로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다.

감사원이 19일 공개한 기관운영감사 결과에 따르면 샤프펜슬 선정 업무에 참여한 평가원 A실장은 입찰대상이 국산품으로 제한된 점을 알면서도 중국 생산업체에서 주문자 생산방식(OEM)으로 납품받은 중국산 샤프펜슬 2종을 제출한 B사를 입찰 대상에 포함시켰다.

결국 값이 싸 가격입찰에서 유리한 B사가 낙찰됐으며 B사는 평가원에 심사용으로 제출한 견본품보다 품질이 떨어지는 제품을 납품했다.

그 결과 작년 실시된 수능에서 수험생의 70%가 샤프펜슬의 품질에 불만을 제기하는 등 물의를 일으켰다고 감사원은 지적했다.

A실장은 또 평가원과 26건의 인쇄계약(104억원)을 한 수능 모의평가 문제지 인쇄업체 C사가 미색 중질지가 아닌 값싸고 질이 떨어지는 팬브라이트 종이를 사용한 사실을 알고도 방치했고 이 업체는 1억6천만원의 부당 이득을 챙겼다.

대신 A실장은 자신의 제자인 업체 사장의 배우자에게 다른 사람 명의로 돈을 빌려달라고 요구, 1천300만원을 받아 챙긴 것으로 확인됐다.

감사원은 A실장을 검찰에 고발하고 파면을 요구했다.

감사원은 또 평가원 직원 5명이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나 평가원장이 수능 출제ㆍ관리위원 등을 위해 지급한 격려금을 빼돌린 사실을 적발, 무더기 고발 조치했다.

이들은 간식비 예산으로 간담회용 주류와 안주 등을 구매하고 공식 회계처리한 뒤 격려금으로 이를 구매한 것처럼 작성해 보고하는 수법으로 자신들이 관리를 맡은 격려금 8천만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대학 수능을 비롯한 각종 시험의 출제ㆍ검토 위원 선정도 문제로 지적됐다.

2011학년도 사회탐구영역 경제 과목의 경우 출제위원 4명 모두 모 대학교 출신으로 구성되는 등 7개 과목의 경우 출제위원의 과반이 특정대학 출신이었다.

2008∼2011학년도 수능 시험 출제ㆍ검토위원 11명과 고입선발고사 출제ㆍ검토위원 5명은 자녀가 해당 연도에 시험을 본 사실이 확인돼 이들을 출제인력풀에서 제외토록 했다.

중등교사임용시험의 경우 교원임용고시학원에서 관련 강의를 했거나 문제집을 집필한 이들을 출제위원으로 선정한 사례도 있었다.

한편 감사원은 한국교육방송공사(EBS) 기관운영감사 결과에서 공공재원 부족분을 교재 원가에 과다 반영해 2010년 수능교재 정가가 5%정도 고가로 책정됐으며 2011년 교재 정가도 74억원 높게 책정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주의를 요구했다.

아울러 전산장비 구매 등을 담당하는 EBS 직원 D씨가 모두 27차례에 걸쳐 전산장비 공급업체 관계자에게 해외 골프접대를 받고 계약 정보를 누설하는 등 업체에 편의를 제공하고 940만원을 받은 사실을 적발, 파면 요구와 함께 검찰에 고발했다.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hanajj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