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SNS 모니터할 것"…野 "사회통제 의도 드러낸 것"

칠레 정부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사이트(SNS)와 블로그의 내용을 모니터하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야당이 강력하게 반발하는 등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22일 브라질 일간지 폴랴 데 상파울루에 따르면 칠레 정부는 국정운영에 참고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SNS와 블로그 내용을 모니터하기 위해 최근 한 미디어 업체와 연간 300만 달러의 계약을 체결했다.

에나 본 바에르 칠레 대통령실 대변인은 "국민이 어떤 생각을 가졌는지 파악하고 이를 국정에 반영하기 위해 SNS와 블로그 내용을 모니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른바 '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것이라는 말이다.

이에 대해 야권은 우파인 세바스티안 피녜라 대통령이 칠레판 '빅 브라더(Big Brother)'를 꿈꾸고 있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빅 브라더'는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년'에 나오는 정보 독점을 통해 사회를 통제하는 권력을 일컫는 말이다.

야권은 피녜라 대통령이 자신의 지지율과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가 악화하고 연일 시위가 계속되자 표현의 자유를 통제하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고 비난했다.

칠레 수도 산티아고 중심부의 대통령궁 라 모네다(La Moneda) 앞에서는 지난달 말부터 공교육 강화를 요구하는 교사·학생의 시위와 남부 파타고니아 지역의 대형 댐 건설 계획에 반대하는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

야당인 '민주주의를 위한 당(PPD)'의 카롤리나 토하 대표는 "칠레 국민이 국가에 세금을 내는 것은 표현의 자유를 지키라는 것이지 감시하라는 게 아니다"라면서 "피녜라 대통령은 표현의 자유를 짓밟고 있다"고 비난했다.

유네스코 산하 기구 소속으로 칠레의 표현의 자유 상황을 감시하는 로레나 도노소 변호사 역시 SNS와 블로그를 들춰서 국민이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대화를 주고받는지를 파악하려 한다는 칠레 정부의 설명은 궁색하기 짝이 없다고 지적했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fidelis21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