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속보]올해 들어 발견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악성코드가 지난해 하반기보다 5배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안철수연구소는 올해 초부터 지난 7일까지 발견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는 74개로 지난해 하반기의 16개보다 5배 가량 늘어났다고 10일 밝혔다.대부분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퇴출되거나 빠른 백신 대응으로 아직 국내 피해 사례는 신고되지 않았다.

최근 발견되는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는 위치 정보나 단말기 정보 등 개인정보 유출 기능과 원격조종,강제루팅 등 다양한 기능이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특히 PC용 악성코드와 유사한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정상 응용프로그램(앱·애플리케이션)을 가장해 설치와 실행을 유도한 뒤 앱 내부의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앱이 발견됐는데 이는 PC에서 자주 발견되는 악성코드인 ‘드롭퍼(Dropper)’와 유사하다는 설명이다.

이호웅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장은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는 대부분 앱을 내려 받을 때 설치되며 사용자 몰래 악성 행위가 진행되기 때문에 피해사실을 알기 어렵다”며 “다운로드 전 반드시 사용자 평가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전용 보안제품을 사용해 진단 후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