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청]정년퇴임하는 표주박통신 김조년 교수,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표주박통신’으로 알려진 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조년(65) 교수가 정년퇴임을 앞두고 제자 한 명 한 명에게 보낸 편지들과 학생들로부터 받은 답장을 모아서 책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를 1일 출간했다.
‘편지에 담은 생각의 씨앗’이란 부제가 붙은 이 책은 2008년 3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김 교수가 매일 한 통씩 써서 사회복지학과 학생 450여 명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일부를 골라 만든 것이다. 이를 주변에서는 ‘500일간의 기도’였다고 전했다. 제자들을 하나씩 떠올리며 기도하는 마음으로 글을 써보냈기 때문이다.
그래서 편지 하나 하나에는 학생들에 대한 김 교수의 사랑이 가득 차 있음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제자들이 당당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이 물씬 묻어난다.
그는 “가르치는 일과 학생들과 친밀하게 교류하는 것은 내가 학교에 존재하는 본질 이유다”라며 “뒤늦게 후회와 아쉬움이 남지만 마감(정년)을 막바지에 두고서 이렇게나마 깨닫고 학생들과 편지를 주고받은 것은 참으로 고마운 일”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내가 편지를 쓸 때 정성이 모아졌듯이 읽는 이들에게도 같은 맘과 사랑이 전달되기기를 바란다”며 “진리의 씨가 되고, 사랑의 씨가 돼 여기저기로 퍼져나간다면 기쁘겠다”고 말했다.
이 책은 ‘우리 속에는 그리스도와 붓다가 다 들어 있다’ ‘삶은 결국 만남의 연속이다’ ‘시대의 불빛이 내 불빛이길 빌면서’ ‘역사는 독기와 향기의 변증 관계다’ ‘남의 글을 읽는 것은 내 글을 쓰기 위함이다’ ‘대학은 개인을 숭상하는 곳이다’ ‘우리의 삶은 끊임없는 물음과 대답으로 이어진다’ ‘모든 이의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를 꿈꾸며’ ‘흔들림 없이 뿌리 내리는 나무가 어디 있던가’ 등 모두 9장으로 구성돼 있다.
김경재 한신대 명예교수는 이 책에 대해 “진솔한 편지들로 엮어진 희한한 책”이라며 “우리 모두가 고민하는 현실과 이상의 충돌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참 용기와 지혜를 겅험을 통해 말해주는 책”이라고 소개했다.
8월 말 정년퇴임하는 김 교수는 퇴임 후 ‘탈 학교 청소년과 성폭력 피해여성들의 자존감 회복을 위한 인문학 강좌’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 책의 수익금은 이 강좌를 위해 쓰기로 했다.
김 교수는 이날 오전 ‘옴, 놀며 머묾, 감 그리고 영원히 같이 삶’이란 주제로 한남대 사회과학대학 두양홀에서 정년맞이 강의를 했다. 강의에는 제자들과 교직원, 동문, 지인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그는 이날 강의를 마치면서 직접 쓴 서예 글씨와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를 학생들에게 선물했다.
김 교수는 한남대를 졸업하고 독일 괴팅겐 대학에서 공부한 사회학자로 지난 1987년부터 20년이 넘도록 제자와 지인 등에게 ‘표주박통신’이란 이름으로 다양한 글을 써보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함석헌 선생의 제자로 현재 ‘씨알의 소리’ 잡지 편집주간을 맡고 있는 김 교수는 생명평화운동, 환경운동 등을 적극 펼쳐 행동하는 지성으로 알려져 있다.
대전=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
‘편지에 담은 생각의 씨앗’이란 부제가 붙은 이 책은 2008년 3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김 교수가 매일 한 통씩 써서 사회복지학과 학생 450여 명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일부를 골라 만든 것이다. 이를 주변에서는 ‘500일간의 기도’였다고 전했다. 제자들을 하나씩 떠올리며 기도하는 마음으로 글을 써보냈기 때문이다.
그래서 편지 하나 하나에는 학생들에 대한 김 교수의 사랑이 가득 차 있음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제자들이 당당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이 물씬 묻어난다.
그는 “가르치는 일과 학생들과 친밀하게 교류하는 것은 내가 학교에 존재하는 본질 이유다”라며 “뒤늦게 후회와 아쉬움이 남지만 마감(정년)을 막바지에 두고서 이렇게나마 깨닫고 학생들과 편지를 주고받은 것은 참으로 고마운 일”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내가 편지를 쓸 때 정성이 모아졌듯이 읽는 이들에게도 같은 맘과 사랑이 전달되기기를 바란다”며 “진리의 씨가 되고, 사랑의 씨가 돼 여기저기로 퍼져나간다면 기쁘겠다”고 말했다.
이 책은 ‘우리 속에는 그리스도와 붓다가 다 들어 있다’ ‘삶은 결국 만남의 연속이다’ ‘시대의 불빛이 내 불빛이길 빌면서’ ‘역사는 독기와 향기의 변증 관계다’ ‘남의 글을 읽는 것은 내 글을 쓰기 위함이다’ ‘대학은 개인을 숭상하는 곳이다’ ‘우리의 삶은 끊임없는 물음과 대답으로 이어진다’ ‘모든 이의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를 꿈꾸며’ ‘흔들림 없이 뿌리 내리는 나무가 어디 있던가’ 등 모두 9장으로 구성돼 있다.
김경재 한신대 명예교수는 이 책에 대해 “진솔한 편지들로 엮어진 희한한 책”이라며 “우리 모두가 고민하는 현실과 이상의 충돌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참 용기와 지혜를 겅험을 통해 말해주는 책”이라고 소개했다.
8월 말 정년퇴임하는 김 교수는 퇴임 후 ‘탈 학교 청소년과 성폭력 피해여성들의 자존감 회복을 위한 인문학 강좌’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 책의 수익금은 이 강좌를 위해 쓰기로 했다.
김 교수는 이날 오전 ‘옴, 놀며 머묾, 감 그리고 영원히 같이 삶’이란 주제로 한남대 사회과학대학 두양홀에서 정년맞이 강의를 했다. 강의에는 제자들과 교직원, 동문, 지인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그는 이날 강의를 마치면서 직접 쓴 서예 글씨와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를 학생들에게 선물했다.
김 교수는 한남대를 졸업하고 독일 괴팅겐 대학에서 공부한 사회학자로 지난 1987년부터 20년이 넘도록 제자와 지인 등에게 ‘표주박통신’이란 이름으로 다양한 글을 써보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함석헌 선생의 제자로 현재 ‘씨알의 소리’ 잡지 편집주간을 맡고 있는 김 교수는 생명평화운동, 환경운동 등을 적극 펼쳐 행동하는 지성으로 알려져 있다.
대전=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